현지시각으로 11일 오전 10시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가 막을 올립니다. 오는 22일까지 열릴 COP29에는 각국에서 4만여명이 참석합니다.
연례 기후총회는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전지구적인 기후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올해 COP29는 2025년 이후의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와 재원 조달 방안을 논의하는 만큼 ‘금융 기후총회’로도 불립니다.
기후총회는 동시에 각국이 약속한 숙제를 얼마나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자리입니다.
①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②재생에너지 3배 확대·에너지효율 2배 개선 서약 ③국제메탄서약 ④삼림벌채 종식 선언 순으로 약속 이행현황을 추적했습니다.
1️⃣ 현 수준으로 금세기 지구 평균기온 3.1℃ 상승
📈 현황: 온실가스 배출량 계속 증가 추세
👀 관전 포인트: COP29 계기로 야심찬 2035 NDC 수립 여부
파리협정 1.5℃ 제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국제사회는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2% 감축해야 합니다. 2035년까지는 57%로 감축 수준으로 더 높여야 합니다.
그러나 현 수준으로는 2030년 감축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 유엔환경계획(UNEP)의 진단입니다. 이는 올해 내놓은 ‘배출량 격차 보고서’에 담겼습니다.
2023년 전 세계가 배출한 온실가스는 약 571억 톤에 이릅니다. 2022년 대비 배출량이 1.3%나 급증했습니다.
UNEP은 현재의 배출량 수준으로는 각국이 약속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모두 수행해도 금세기말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최대 3.1℃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3℃ 상승 시 극지방 얼음은 걷잡을 수 없이 녹을뿐더러, 아마존 열대우림이 완전히 사라지는 등 여러 재앙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 과학계의 경고입니다.
UNEP은 1.5℃ 제한 목표가 여전히 달성 가능한 궤도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2030년까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220억 톤 더 줄여야 한다고 기관은 역설했습니다.
한편, 파리협정 195개 당사국은 오는 2025년 2월까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새로 설정한 ‘2035 NDC’를 제출해야 합니다. 파리협정 내 ‘진전의 원칙’에 따라 감축목표는 매번 상향돼야 합니다.
11일 UNFCCC 홈페이지에 따르면, 현재까지 2035 NDC를 제출한 곳은 아랍에리미트(UEA)가 유일합니다. UAE는 2035년까지 2019년 대비 47%를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 NDC를 유엔에 제출했습니다.
영국은 COP29에서 상향된 NDC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각국에 야심찬 2035 NDC 수립을 촉구하기 위해서입니다. COP29를 계기로 나오는 각국의 2035 NDC 현황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 IEA, 2030년 재생에너지 3배 확대 목표 ‘일부 달성’
⚡ 현황 및 목표: 2023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4,250GW → 2030년 1만 1,000GW
👀 관전 포인트: 에너지저장장치 및 전략망 확충 서약 달성 여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1만 1,000GW(기가와트)까지 늘리고, 같은기간 에너지효율 역시 2배 이상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른바 ‘글로벌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서약’입니다.
서약 속 내용은 작년 UAE 두바이에서 열린 28차 당사국총회(COP28)의 최종합의문에도 담겼습니다. COP28에서 나온 목표 중 온실가스 감축 개선이 가장 클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이후 국제에너지기구(IEA)가 해당 목표의 이행현황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IEA에 따르면, 현재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4,250GW에 이릅니다.
2023년에 설치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만 560GW에 이릅니다. 이중 60%가 중국에서 설치됐습니다. 현 추세라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약 1만 GW에 이를 것으로 IEA는 내다봤습니다. 1,000GW가 적어도 추가로 더 설치돼야 한다는 뜻입니다.
반면, 에너지효율 2배 개선 목표는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7일 EA가 발간한 연례 에너지효율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1차 에너지 집약도는 2024년에 1% 향상에 그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3년과 동일한 수준일뿐더러, 지난 10년간(2010~2019년) 평균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세계 에너지수요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들이 기존 정책을 수정하거나 신규 정책을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효율이 생각만큼 빠르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IEA는 지적했습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에너지효율은 안전하고 저렴한 에너지전환의 핵심축”이라며 “정책은 이미 준비돼 있는 만큼, 각국 정부는 더 빠르고 강력하게 정책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올해 COP29에서는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전략망 확충’ 서약이 추진됩니다.
IEA는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확충을 위해서는 전력망이 개선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서약은 전 세계 ESS 규모를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6배 늘어난 1,500GW까지 확충하고, 전력망을 2040년까지 8,000만㎞ 추가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3️⃣ 158개국 동참한 국제메탄서약, 이행 수준 ‘아직 낮아’
⛈️ 대기 중 메탄 농도: 2021년 1,907ppb → 2022년 1,923ppb → 2023년 1,943ppb
👀 관전 포인트: 음식물쓰레기 메탄 감축 선언, 미중 메탄 정상회담 성과
세계기상기구(WMO)에 의하면, 지난해 대기 중 메탄 농도는 1,943ppb(10억 분의 1)로 나타났습니다. 역대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지수(GWP)가 20년 기준으로 약 84배에 이르는 온실가스입니다. 화석연료 시추나 축산업, 매립지에서 주로 나옵니다. 그 대신 대기 중 잔류기간이 10여년에 불과해 이산화탄소(최장 200년)보다 짧습니다.
달리 말하면 단기간에 큰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에 2021년 26차 당사국총회(COP26)에서 105개국은 ‘국제메탄서약’에 합의했습니다.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메탄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11일 기준 가입국은 158개국으로 늘었습니다. COP29 의장국인 아제르바이잔 역시 올해 3월에 가입했습니다.
단, 메탄 배출량이 높은 ①중국 ②인도 ③러시아 ④이란 등 4개국은 아직 서약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세계 전체 메탄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COP29에서도 주요 화제 중 하나는 메탄 감축입니다. 실제로 음식물쓰레기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나오는 메탄을 감소하기 위한 선언이 추진됩니다. 국제메탄서약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눈여겨볼 점은 개최 이튿날(12일) 의장국인 아제르바이잔이 미국과 중국과 공동으로 ‘메탄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정상회의’를 주관한다는 겁니다. 이는 올해 9월 미중 양국의 기후회담을 통해 결정됐습니다.
미중 양국은 메탄 배출량 통제와 감축을 위해 협력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4️⃣ “2023년 삼림벌채 수준 오히려 퇴보”
🪓 삼림벌채 수준: 2023년 6,260만㏊ 사라져
👀 관전 포인트: 없음
COP26에서 국제사회는 2030년까지 삼림벌채와 토지황폐화를 종식하고, 삼림복원을 목표로 하는 ‘삼림과 토지 이용에 관한 글래스고 정상 선언(이하 삼림벌채 종식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브라질·인도네시아·콩고민주공화국 등 세계 삼림의 약 90%를 차지하는 국가 145개국이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삼림벌채 종식 목표의 경우 오히려 퇴보를 걷고 있습니다.
컨설팅업체 클라이밋포커스에 따르면, 2023년에 약 640만㏊(헥타르) 면적의 삼림이 벌채됐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삼림 전체가 사라진 것과 똑같습니다.
여기에 산불에 따른 소실까지 고려하면 약 6,260만㏊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소고기·대두·팜유 소비 급증과 더불어 니켈·코발트 같은 핵심광물 수요 증가가 벌채를 부추긴 원인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경우 지난해 삼림벌채가 전년 대비 57% 넘게 급증했습니다.
컨설턴트이자 보고서 주요 조자인 이반 팔메기아니는 “전 세계적으로 삼림벌채가 2010년대초 이후로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악화됐다는 것이 결론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물론 삼림벌채 감소 부문에서 진전을 일부 이룬 국가들도 있습니다. 호주·콜롬비아·파라과이·베네수엘라·베트남 등 5개국이 대표적입니다.
또 지난해 브라질의 경우 삼림벌채가 전년 대비 62% 줄어든 점이 확인됐습니다. 수치 자체는 긍정적이긴 하나, 일부 지역에서는 삼림벌채가 같은기간 68%나 급증했습니다. 주로 커피 원두가 생산되는 지역이었습니다
기관은 ▲삼림보호 ▲원주민 공동체 권리 보호 등을 위해서는 벌채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에 대한 수요 감소가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COP29에서는 삼림벌채 종식과 관련해 별도 고위급행사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해당 주제는 2025년 브라질에서 열릴 30차 당사국총회(COP30)의 주요 의제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COP29 개막 모아보기]
① 신규 기후재원 조성 방법 주요 쟁점
② COP29에 참석하는 ‘정상’은 몇 명일까?
③ 기후총회(COP) 약속 이행현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