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기후테크 투자 113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

WSJ, 우울한 투자 시장 속 기후테크 더는 밝지 않아

올해 상반기(1~6월) 전 세계 기후테크 스타트업 투자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털(VC) 투자 규모는 113억 달러(약 15조 5,940억원)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수치입니다. 2023년 하반기(7~12월)와 비교하면 41% 줄어든 것입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사이트라인클라이밋(구 CTVC)은 최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상반기 기후테크 동향 문서를 내놓았습니다.

11일 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기관은 기후테크 산업 내 투자가 줄어든 이유로 크게 2가지를 꼽았습니다.

거시경제 침체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의 영향으로 기후테크 산업 내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단 것이 기관의 말입니다.

같은날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몇 년째 (경기침체로) 우울했던 투자 시장 속에서 기후테크 투자는 종종 밝은 빛이었다”며 “더 이상은 아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2024년 1분기 65억 달러 → 2분기 48억 달러 💸

사이트라인클라이밋은 투자사가 공개한 자료를 기반으로 투자 현황을 집계합니다.

단, 사모펀드나 공공재원 나아가 부채나 대출 형태의 투자는 집계에서 제외됩니다. 순수하게 VC가 투자한 금액만 봅니다.

그 결과, 올해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VC 투자는 113억 달러로 파악됐습니다.

세부적으로는 1분기 65억 달러(약 8조 9,600억원), 2분기 48억 달러(약 6조 6,185억원)로 파악됐습니다. 데이터에서 2분기 투자가 직전 분기보다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반기 전체 투자 거래 건수는 553건이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749건에 비해 26% 줄었습니다.

사이트라인클라이밋은 2분기 투자가 직전 분기보다 떨어진 이유에 대해 “투자자들이 미국 대선을 앞두고 ‘(투자를) 기다려보자’는 입장을 취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스타트업 단계별 투자 현황 역시 낙관적이지 않았습니다.

 

1️⃣ 시드·시리즈 A: 투자·거래 건수 ↓…“딥테크만 웃어”

먼저 초기 단계 투자인 시드와 시리즈 A 투자 모두 전체 투자 규모가 감소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후테크 스타트업의 시드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습니다. 같은기간 시리즈 A 투자 규모도 10% 감소했습니다.

거래 건수 역시 줄었습니다. 시드 투자 거래 건수는 올해 상반기 239건으로 파악됐습니다. 거래 건수가 정점을 찍은 2021년 상반기(341건)와 비교해 30% 정도 감소한 것입니다.

시리즈 A 역시 정점을 찍은 2021년 상반기(188건)와 비교해 올해는 145건으로 줄었습니다.

지난해 경기침체 속에서도 시드·시리즈 A 같은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거래가 되레 늘었던 것과 대조됩니다. 이에 기관은 “경기침체 속에서 초기 단계 (스타트업의) 회복력이 끝났음을 알리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상황이 비관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시드와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의 경우 평균 투자 액수는 되레 늘어난 것이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평균 투자액이 21% 늘어났단 것이 사이트라인클라이밋의 말입니다.

특히, 딥테크 스타트업일수록 투자 규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관은 미국 핵융합 기업 블루레이저퓨전(BLF)의 사례를 예시로 소개했습니다. 2030년 핵융합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곳입니다. 올해 3월 시드 투자를 통해 3,750만 달러(약 517억원)를 유치했습니다.

 

▲ 스타트업 단계별 투자 흐름을 살펴보면, 성장과 시리즈 B 단계 하락폭이 각각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니엄

2️⃣ 시리즈 B: ‘데스밸리’ 심각…자금 조달 기간 2.5배 늘어

시리즈 B는 상황이 더 좋지 않습니다.

시리즈 B 단계 스타트업을 위한 올해 상반기 자금 조달은 전년 동기 대비 24% 줄었습니다. 거래 건수 역시 59건에 그쳤습니다. 2021년 상반기(82건)와 비교해 28% 감소한 것입니다.

이는 수익화에 실패해 ‘데스밸리(죽음의 계곡·Death Valley)’를 넘지 못하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이 더 많아질 수 있단 뜻입니다.

그간 피치북을 비롯한 주요 시장조사기관들은 모두 시리즈 B 투자 격차가 해소돼야 한단 점을 말해 왔습니다.

사이트라인클라이밋은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해야 할 기업들이 나날이 커지는 자금 격차에 직면해 있다”며 “자산을 보존하거나 또는 더 불리한 조건으로 투자 유치에 나서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시리즈 B 자금 조달에 걸리는 시간이 2021년과 비교해 약 2.5배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에 평균 11개월 걸리던 것이 이제는 26개월이 된 것입니다. 동시에 기후테크 스타트업 대다수가 시리즈 A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단 뜻입니다.

대신 시리즈 B 투자에 성공한 스타트업들은 상황이 다릅니다.

시드·시리즈 A 투자와 마찬가지로 시리즈 B 역시 평균 투자 액수가 늘어난 것이 확인됐습니다. 기관은 “시리즈 A를 통과할 수 있는 좋은 기업은 계속 인정한다는 신호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전기자동차 충전 기술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일렉트라가 대표 사례로 소개됐습니다.

지난 1월 일렉트라는 3억 3,000만 달러(약 4,55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프랑스에 본사를 둔 이 기업은 유럽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 열배터리 기술을 보유한 안토라에너지는 지난 2월 시리즈 B 투자를 통해 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자본을 유치했다. ©Antora Energy

3️⃣ 시리즈 C 이후: 투자 규모 하락 속 드라이파우더 ↑

후기 투자 단계에 속하는 시리즈 C 역시 투자 규모와 거래 건수 모두 줄어든 것이 확인됐습니다.

시리즈 C 투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습니다. 거래 건수 역시 2021년 상반기 25건에서 올해 23건으로 줄었습니다. 또 앞선 단계별 투자와 달리 평균 투자 액수 역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리즈 C 이후 후기 단계 투자와 거래 건수 역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자할 자본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기관에 의하면, 2024년 1분기까지 기후테크 산업 내 누적된 ‘드라이파우더’만 820억 달러(약 113조원)에 달합니다. 이중 절반인 410억 달러(약 56조원)가 올해 1분기에 모였습니다.

드라이파우더는 당장 투자에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자금을 말합니다.

사이트라인클라이밋은 “투자자들이 기록적인 수준의 드라이파우더를 보유하고 있다”며 “(기술) 상용화와 연간반복수익(ARR) 목표를 두고 증거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쉽게 말해 투자자들이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더 꼼꼼하게 투자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피치북 역시 비슷한 평가를 한 바 있습니다. 지난 3월 존 맥도나 피치북 분석가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 결과나 로드맵, 허가 계획 등을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초기 투자사인 컨그루언트벤처스의 공동설립자 겸 운영 파트너인 아베 요켈 역시 “(과거에는) 기후테크 기업들이 재정이 아닌 꿈을 판매하는 일이 많았다”고 꼬집은 바 있습니다.

이에 그는 앞으로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은 탄탄한 수익성과 성장성 그리고 건전한 경제성을 기준으로 투자를 평가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후테크 투자 동향 모아보기]
① 2024년 상반기 기후테크 투자 113억 달러
② “파산‧폐업 잇따라” 기후테크 ‘빅3’ 업종 현황은?
③ 상반기 가장 많은 투자금 모은 상위 기후테크 기업 10곳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테크, 산업

세계 최대 기술박람회 CES 2025, 올해 지속가능성 트렌드는?

기후테크, 산업

2025년 MIT 테크리뷰 선정 10대 혁신 기술에 ‘소 사료’ 포함된 까닭?

그린비즈, 경제

무역갈등 2.0 예고에 부동산 침체까지 2025년 중국 경제 전망은?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