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23개국 전기차 전환 중요 분기점 통과…“한국, 노르웨이·중국 경로 밟고 있어”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에서 있어 세계 23개국이 중요 분기점을 통과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신차 판매량에서 순전기차(BEV)가 차지하는 비중이 5%를 넘은 국가가 23곳에 달했한 것. 기술 선호도가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BEV 주류화의 시작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엘니뇨가 부른 에코플레이션, “식량·에너지·광물 등 경제 전반 리스크 ↑”
기후변화와 엘니뇨 현상이 맞물림에 따라 세계 각지에서 이상기후 빈도와 피해규모가 심화되는 상황. 최근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이상기후가 식량물가 상승을 넘어, 경제 전반의 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엑손모빌의 경고, “에너지 관련 배출량 감축에도 2050년 파리협정 2℃ 억제 달성 역부족!”
205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상 올라 파리협정 달성이 실패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왔습니다. 파리협정의 목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로 제한하고, 2℃ 이내로 억제하는 것입니다. 엑손모빌은 1.5℃ 목표는커녕 이를 훌쩍 넘어설 수 있다고 내다본 것.
22개 단체 연합한 ‘자연범죄연합’ 출범…“생물다양성·기후 위협하는 자연범죄 막아라!”
생물다양성을 약화시키는 환경파괴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국제 이니셔티브가 출범했습니다. 정부·사법기구·환경단체 등 다부문에 걸쳐 협력적 행동을 구축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제7차 지구환경기금 총회에서 세계자원연구소(WRI)를 비롯해 22개 기관이 ‘자연범죄연합’이 출범을 알렸습니다.
탄소크레딧 본딴 ‘플라스틱크레딧’, 플라스틱 오염 해결 가능할까?
플라스틱의 안전하고 순환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개도국 내 폐기물 수집 및 분류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 그러나 이를 위해선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데요. 이같은 상황을 해결할 방법으로 ‘플라스틱크레딧(Plastic credit)’이 떠올랐습니다.
패스트패션에 가려진 명품브랜드의 탄소발자국…MZ세대 “블랙핑크 이용한 K-워싱 그만!”
최근 이러한 명품패션 브랜드가 대중의 인식과 달리 탄소중립 노력에 소홀했다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케이팝(K-pop) 팬들의 기후대응 플랫폼 ‘케이팝포플래닛’이 국제환경단체 ‘액션스픽스라우더’와 함께 지난 9일 공개한 ‘명품 언박싱: 그린워싱 에디션’ 보고서에 담긴 내용입니다.
배터리 3사에 포스코·두산·영풍까지! 대기업 각축전된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현황은?
중국 중심의 배터리 공급망 탈피와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국내 대기업들이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LG·SK·삼성·포스코에 이어 최근 두산그룹까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대기업의 각축전이 된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의 현황을 정리했습니다.
“탄소 수익 공유 50%→30% ↓”…짐바브웨는 후퇴했지만, 탄소 수익 공유 논란은 이제 시작
지난 18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짐바브웨 정부가 탄소크레딧 개발기업이 프로젝트 초기 10년 동안 수익금의 최대 7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규제 탄소시장에 포함된 사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밀짚·사탕수숫대 업사이클링해 초콜릿·파스타 만든 ‘서플랜트 컴퍼니’…“미쉐린 셰프도 반했다!”
밀과 쌀 그리고 사탕수수의 3분의 2가량이 버려지고 있단 사실,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여기 ‘잊혀진 절반’인 농업 부산물을 업사이클링해 과자와 초콜릿 그리고 파스타로 재탄생시킨 기업이 있습니다. 영국 푸드테크 스타트업 ‘서플랜트 컴퍼니’의 이야기입니다.
합성생물학·AI로 ‘오징어 없는 오징어 섬유’ 개발한 탠덤리피트, “미세플라스틱 방지 가능!”
미세플라스틱의 배출원 중 하나가 바로 우리가 일상에서 매일 세탁하는 옷이란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에 해양 플라스틱 오염을 제거하면서도 천연섬유로 인한 환경영향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섬유를 개발한 기업이 있습니다.
Stay conn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