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급증으로 인해 청정에너지 수급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구글이 청정에너지 데이터센터 개발을 위해 재생에너지 업체·사모펀드와 3자 협력에 나섰습니다.
구글은 에너지 스타트업 인터섹트파워의 재생에너지 발전소 단지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전력을 공급받는다는 계획을 지난 10일(이하 현지시각)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구글은 임팩트투자펀드 ‘TPG 라이즈클라이밋’과 함께 인터섹트파워의 8억 달러(약 1조 1,460억 원) 규모 투자에 참여했습니다.
재생에너지와 데이터센터 공동배치를 위해 3곳이 손을 잡은 것입니다.
구글은 공동배치 프로젝트의 1단계는 2026년 가동을 시작해 2027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2030년 완공이 최종 목표입니다. 총 200억 달러(약 28조 6,480억 원)가 투자될 계획입니다.
구글 “데이터센터 청정전력 수급, 자급자족 목표” ⚡
구글은 이번 협업의 특징이 ‘전력 우선 접근 방식’에 있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쉽게 말해 데이터센터 건설에 앞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먼저 구축한다는 뜻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전력 확보부터 데이터센터 건설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하겠단 구상입니다.
전력수요와 공급을 한 곳에 함께 구축해 전력망 구축에 따른 부가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구글과 함께하는 인터섹트파워는 2016년 설립된 재생에너지 스타트업입니다. 현재 태양광 2.2GW(기가와트)와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2.4GWh(기가와트시) 시설을 운영·건설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추가로 태양광 4GW·배터리 ESS 10GWh 시설 착공을 계획 중입니다.
12일 기준, 이번 투자를 포함해 설립 후 조달한 투자금만 89억 달러(약 12조 7,480억 원)에 달합니다.
다만, 이번 사업에서 데이터센터의 구체적인 규모나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구글 글로벌 데이터센터 에너지 책임자인 아만다 피터슨 코리오는 이같은 공동배치가 인프라(기반시설) 구축 속도를 높이고 전력망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나아가 데이터센터 건설로 초래될 수 있는 전력 병목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셸던 킴버 인터섹트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이같은 방식을 ‘BYOP(Bring Your Own Power)’라고 부릅니다. ‘필요한 전력은 스스로 가져와라’란 말입니다. 쉽게 말해 자급자족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이번 계약이 “빅테크 기업과 전력공급업체 간 협력 방식의 진화”라고 말했습니다.
“전력망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한 새로운 해결책이 될 것”이란 것이 킴버 CEO의 주장입니다.
청정전력-데이터센터 첫 공동배치, 전력망난 타개할까 🤔
재생에너지와 데이터센터를 공동배치한다는 계획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입니다.
구글이 새로운 시도에 나선 배경에는 100% 무탄소전원 약속과 전력망 부족 문제가 자리합니다.
구글은 이미 2018년 ‘24/7 CFE 협약’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203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무탄소전원으로 실시간 수급해 사용한다는 내용입니다.
문제는 미국 내 전력망 부족으로 재생에너지 확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단 것입니다. 구글은 “다수의 미국 내 전력 사업에서 제안부터 시공까지 시간이 과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미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는 2023년 기준 약 2,600GW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전력망 연결 문제에 놓인 것으로 추정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전력망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센터에 맞춘 규모와 설계로 직접 청정에너지 공급까지 개발한다는 것이 구글의 계획입니다.
코리오 책임자는 “구글의 목표는 매시간 완전히 탈탄소화된 전력을 얻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는 2023년 지열 스타트업 퍼보에너지와의 전력 계약도 이같은 노력의 일환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메타 전철 피하려면? “규제당국 지침 마련해야” ⚖️
구글의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데이터센터와 발전소의 공동배치를 두고 지역 전력사들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입니다.
앞서 메타(구 페이스북)도 원자력발전소와 데이터센터 간 공동배치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미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로부터 승인을 기각당했습니다.
전력수급의 문제로 전력망 안정성이 훼손되고 소비자에게 비용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역 전력사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것입니다.
구글이 공동배치 프로젝트의 허가·건설에 대한 세부정보를 밝히지 않은 이유도 아직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구글은 연방에너지규제위에 공동배치로 인한 송전망 부하 해결을 위한 지침을 마련해 달라고 지난 9일 요청한 상황입니다.
요청서에서 구글은 “역사적인 에너지수요 확장 시기에 있으며 관련 부담은 불가피하다”고 토로했습니다. 그러면서 공동배치는 전력망의 안정성·탄력성을 보장하는 경로가 되어야 한다며 연방에너지규제위에 규제 타개책을 촉구했습니다.
프로젝트 지역에 ‘규제완화’ 텍사스주 유력 🐂
일단 구글과 인터섹트파워 모두 낙관적인 기대를 표했습니다.
특히, 미국 남부 텍사스주에서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텍사스주는 전력규제가 대폭 완화된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전력시장이 2002년부터 민영화됐기 때문에 공동배치에 이의를 제기할 독점적 전력사가 부재하다는 점도 고려할 만합니다.
인터섹트파워는 2013년에 유사한 프로젝트 계획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일명 ‘마이트너 파워 프로젝트(Meitner Power Project)’입니다. 텍사스주 북부 한 장소에 태양광·풍력발전소와 수소전해조 시설을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인터섹트파워의 단독 프로젝트입니다. 2026년 착공 예정입니다.
킴버 CEO는 공동배치에 대한 규제는 매우 어려운 문제라면서도 “텍사스주에서는 대부분 해결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텍사스주로 오고 있고 마이트너 프로젝트 또한 그곳에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