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2024년 기후변화 및 안보영향 평가’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는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 맞춰 공개됐습니다.
32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나토는 2021년부터 기후변화와 안보영향 평가에 관한 보고서를 연례적으로 발간하고 있습니다.
15일 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나토는 이번 제3차 보고서에서 “(급격한 기후변화가) 동맹국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습니다.
보고서는 기후문제가 나토의 각 군사작전(육해공·사이버·우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습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지난해 나토는 매우 어려운 안보 환경에 직면했다”며 “나날이 심화하는 기후변화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도 맞서 싸워야 했다”고 토로했습니다.
기후변화로 군사작전 제한·중단 ↑…중장기적 갈등 고조 🚨
먼저 나토는 보고서에서 기상이변이 군사작전 전반에 영향을 준단 점을 짚었습니다.
뜨거워지는 기온으로 인해 군사 부문 역시 작전 환경을 더 예측하기 어려워졌단 것.
한국군 사례가 대표로 소개됐습니다.
2022년 우리나라 국군 의무사령부(AFMC) 자료에 의하면, 육군에서 열사병 같은 온열질환 환자 사례가 90.3% 발생했습니다. 공군·해군·해병대 대비 육군에서 온열질환 환자수가 매우 높았다는 것. 기후문제가 군인들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것이 나토의 말입니다.
실제로 주요 작전 지역에서 기온이 35℃ 이상 넘는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군사작전이 제한되거나 중단되는 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기상이변으로 인해 군사시설 유지비나 수리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는 점도 언급됐습니다.
나아가 기상이변 발생 시 민간인을 지원하는 수요 역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나토는 설명했습니다.
2023년 캐나다를 덮친 최악의 산불로 인해 2,214명의 군인이 대응 작업에 투입됐단 점이 대표 사례로 소개됐습니다.
나토는 중장기적으로 기후문제가 추후 ▲대규모 인구 이동 ▲공급망 붕괴 등을 야기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보고서는 “주요 해류의 급격한 변화나 농업 시스템 붕괴 같은 ‘티핑포인트(임계점)’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같은 현상은 기후스트레스를 겪는 지역의 불안정성과 이주를 급속히 확대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북극 지역 안보 흔들려”…러시아·중국 역시 영향 🗺️
나토는 이같은 기후취약성이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이 그중에서도 가장 취약합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은 기후적응 능력이 매우 떨어져 전반적인 안보에 악영향을 준단 점도 언급됐습니다. 나아가 이같은 악영향이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확산할 것으로 나토는 내다봤습니다.
나토는 “호주·뉴질랜드 같은 국가에서 산불 위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며 “해수면 상승 역시 도서국에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특히, 기후위기로 인한 북극 지역 안보 변화가 중점적으로 언급됐습니다.
나토는 보고서에서 “북극 지역은 지구 평균의 약 4배에 달하는 온난화 현상을 겪고 있다”며 “이는 환경·지역사회 등 접근성과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후위기로 북극 빙하가 녹으면서 경제·군사안보 확보를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북극 쟁탈전이 대표적입니다.
나토는 전략적 경쟁국인 러시아와 중국의 안보에도 기후문제가 영향을 미치고 있단 점을 우려했습니다. 이들 국가의 기상이변이 돌이킬 수 없는 지점에 일으킬 경우 안보나 공급망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단 것이 기관의 설명입니다.
“러시아·중국발 기후부정론 SNS서 급격히 확산” 📱
나토는 에너지 전환이나 기후문제와 관련된 허위정보 역시 안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이같은 허위정보가 기후대응을 위한 정치적 의지를 약화한단 것이 나토의 설명입니다.
예컨대 작년 11월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전후로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허위정보가 급격하게 확산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50여개 환경단체가 모인 ‘허위정보에 대응하는 기후행동(CAAD)’은 허위정보 확산의 주범으로 러시아와 중국을 꼽았습니다.
나토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유럽 내 녹색 전환과 관련해 허위정보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기후대응 정책이나 재생에너지 투자를 적극 방해하려는 움직임 역시 관찰됐습니다. 러시아 계정이 주기적으로 기후활동가를 공격한다는 점도 언급됐습니다.
지난해 8월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섬을 강타한 대형산불과 관련해서도 허위정보가 확산됐습니다.
당시 미 유명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가 산불을 야기했다, 미군의 비밀실험이 산불을 일으켰다는 등의 정보가 SNS를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했습니다. 실제로는 당시 강풍에 끊어진 송전선에서 불꽃이 튀면서 산불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토는 이같은 허위정보가 중국에서 먼저 시작됐다는 점을 꼬집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2년간 1.7억 톤 규모 온실가스 배출 📈
보고서는 전쟁이 기후문제와 환경피해의 주요 원인이란 점도 짚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대표 사례로 소개됐습니다. 전쟁 발발 후 2년간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1억 7,500만 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나토는 밝혔습니다.
나토는 “유조선·정유소가 공격받았다”며 “산불로 숲이 사라져 탄소흡수원 능력 역시 감소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영공 제한으로 인해 민간항공기가 더 긴 항로를 운행하게 돼 배출량 역시 증가했다는 점도 언급됐습니다.
이어 ‘전쟁 온실가스 회계 이니셔티브(IGGAW)’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가 배상해야 GF 기후배상금을 320억 달러(약 44조원)에 이른다고 나토는 밝혔습니다.
IGGAW는 탄소회계 협회와 협업을 통해 분쟁에서 발생한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신규 방법론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2개 나토 회원국, 군사비 지출 ↑ “2.3억 톤 배출량” 📈
한편, 나토 역시 군사비로 인해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비영리 싱크탱크 초국적연구소(TNI)·티핑포인트 노스사우스·와펜한델 등 국제단체 3곳은 나토 회원국의 군사비 증가가 기후악화로 이어진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지난 9일 내놓았습니다.
2023년 나토 32개 회원국은 군사비로 1조 3,400억 달러(약 1,845조원)를 지출했습니다. 2022년 대비 1,260억 달러(약 173조원) 늘어난 규모입니다.
3개 기관은 보고서에서 “나토 회원국의 군사예산으로 보면 지난해 약 2억 3,300만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콜롬비아나 카타르의 연간 온실가스 총배출량보다 많다는 것이 기관의 지적입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파리협정 달성을 위해선 2030년까지 세계가 연간 배출량을 43% 줄여야 할 것으로 분석한 바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선 세계 군사 부문 배출량이 매년 최소 5% 감축해야 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 나토,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10억 유로 투자 나선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