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E ⑦: 보스턴컨설팅그룹·BASF 등 기후대응서 업종별 공동 대응 강조…“순환경제 전환도 대두”

”소재효율성 개선도 핵심”

기후·에너지 분야 범정부 행사인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가 5월 25일부터 27일까지,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됐습니다.

정부 부처가 개별적으로 진행하던 기후·에너지 관련 행사가 통합돼 개최된 이번 박람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11개 중앙 부처와 대한상공회의소 등 14개 관계기관이 박람회에 참여했습니다. 이밖에도 국내외 주요 기업 500여개와 주요국 정부·국제기구 인사 등 2만 8,000여명이 참여했습니다.

이번 박람회는 탄소중립 관련 산업계의 대응 방안 공유 및 국제적 협력에서의 논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정부는 기후산업 생태계를 선도함으로써 신(新)성장동력을 도모하는 자리라고 설명했습니다.

박람회는 ▲개막식 ▲콘퍼런스(비즈니스·도시·리더스서밋) ▲전시회 ▲연계행사 ▲폐막식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그렇다면 박람회에서는 과연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을까요? 그리니엄이 직접 다녀왔습니다.

편집자주

 

BCG코리아 “기후대응, 개별 기업 접근 넘어 업종별 공동 대응 접근 필요” 🚨

박람회 개막식인 지난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도전과제를 논의하는 ‘제2차 기후미래포럼’을 개최했습니다. 포럼에는 세계 각국의 산·학·연 전문가가 직접 참석해 주요국과 산업계의 기후대응 현황과 전망을 공유했습니다.

이날 포럼에서는 각 기업 단위별 기후대응 접근을 넘어 업종별 공동 대응 접근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습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의 최인진 시니어 MD파트너는 ‘탄소중립 글로벌 동향에 대한 한국 산업계의 전략’ 주제 발표에서 이같은 제언을 내놓았습니다.

최 파트너는 “기후대응은 원가절감이나 기술대응 등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서 오는 이익이 더 크다”며 “개별 기업 단위의 접근보다는 업종 단위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업종별로는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기술이 비교적 공통됐고, 개별 기업이 각각의 기술을 투자해 찾기에는 투자효율성과 연구개발(R&D) 속도가 모두 낮단 것이 최 파트너의 설명입니다.

 

▲ 제2회 기후미래포럼에 주요 연사로 참여한 최인진 보스턴컨설팅그룹코리아 시니어 MD파트너의 모습. ©greenium

그러면서 독일과 일본 내 철강 산업이 연합해 만든 ‘녹색철강 이니셔티브’를 주요 사례로 소개했습니다.

독일 최대 철강 기업 티센크루프(Thyssenkrupp)는 2045년까지 기후중립 달성을 목표로 주요 업체들과 연대한 이니셔티브를 출범했습니다. 이는 철강 생산 시 그린수소 생산 등을 공급받기 위해서입니다.

일본의 경우 일본제철, 고베제강, 스미모토금속공업, JFE스틸 등이 도쿄대 및 규슈대학 등과 공동으로 ‘페로 코크스’ 기술을 개발한 바 있습니다. 이 기술은 철강 원료인 선철을 만드는 속도를 높여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이산화탄소(CO2) 배출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0년 우리나라 포스코 또한 주요 철강사에게 이니셔티브 추진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당시 수소시대 도래에 대응해 철강사 간 탄소저감 기술 협업과 정보 공유를 골자로 하는 ‘그린스틸 이니셔티브(Green Steel Initiative)’ 추진을 제안했습니다. 다만, 이 제안이 현실로 이어지지는 못했습니다.

이에 최 파트너는 “수년간의 노력 끝에 개별 기업이 할 수 있는 것은 많이 했다”며 “(미래 기후대응은) 협력의 장이다”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 미국 국무부와 세계경제포럼의 주도로 2021년 11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설립된 세계선도연합은 탄소배출량 감축이 어려운 8개 분야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한다. ©WEF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 “한국, FMC 협력체 참여 요청받아” 📢

2021년 11월, 미국 국무부와 세계경제포럼(WEF)가 출범한 ‘세계선도연합(FMC·First Movers Coalition)’도 업종별 기후대응 공동 사례로 소개됐습니다.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가 주도해 만든 FMC.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30%를 차지하나, 배출량 감축이 쉽지 않은 알루미늄·항공·화학·콘크리트·해운 분야 탈탄소화를 위해 신(新)기술을 구매하기로 약속한 민관 합작 단체입니다.

여기에 탄소제거(CDR)이 기술이 추가됨에 따라 8개 분야에서 82개 기업 및 연구소 등이 참여 중입니다.

FMC는 수요가 가진 힘을 최대한 활용해 산업 내 탈탄소화를 가속하는데 집중합니다. 대기업들이 신기술 및 신제품 구매를 약속하면, 이를 개발·생산하는 기업도 주목받는단 것.

구글 모기업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MS) 그리고 세일즈포스 등 주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상당수도 FMC에 속해 있습니다. 이들 3사는 작년 5월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에서 대기 중 탄소제거 기술에 5억 달러(약 6,300억원)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김상협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은 포럼에 참석해 “한국이 FMC 협력체에 참여를 요청받고 있다”며 “한국도 (미국과) 동등한 동맹 차원에서 참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최 파트너는 “(FMC는) 기후변화 관련 기술을 공동 구매하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기후테크 시장은 결코 정부의 정책만으로 성장할 수 없다고 최 파트너는 피력했습니다. 최 파트너는 “여전히 마중물이 필요하다”며 “탄소배출로 인한 비용을 패널티(처벌)로 보지 말고 코스트(이익을 위한 비용)로 봐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그러면서 기후대응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을 창출할 기회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최 파트너는 설명했습니다.

 

▲ 제2회 기후미래포럼에 참석한 관람객들의 모습. ©사단법인 우리들의 미래

탄소중립 핵심 기술 ‘청정수소·CCUS’…”소재효율성 개선도 핵심” 🧪

이밖에도 포럼에는 ▲마크 루스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 프로그램 매니저 ▲요하임 티에리 안데르스 바스프(BASF) 코리아 상무 ▲스위 칭 탄 싱가포르국립대 교수가 주요 연사로 참여했습니다.

NREL의 루스 매니저는 에너지전력망과 청정수소 생산단가 절감을 위한 제조기술 등 미국 에너지 분야 최신 기술개발 현황을 소개했습니다. 루스 매너지는 재생에너지 전력망을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택지로 수소를 소개했습니다.

그는 “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하고 저장할 것인지는 수소를 보면 알 수 있다”며 “(NREL에서) 수소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루스 매니저는 통합된 전력망과 분자화학기술의 중요성과 함께 소재의 순환성 등 3가지 측면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루스 매니저는 “풍력터빈 등 여러 소재를 어떻게 순환시킬지 고민하고 있다”며 “에너지 시스템에서 물자 등 소재효율성을 높일 방안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안데스르 상무는 세계적인 화학기업인 BASF에서 고분자 전해질막(PEM) 수전해기술 개발 및 북해 내 대규모 CCS(탄소포집·저장) 프로젝트 등 산업계 내 기술혁신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안데스르 상무 또한 “감축이 힘든 부분은 CCUS(탄소포집·활용·저장)나 CCS를 활용할 수밖에 없다”며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해선) 업계 차원에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스위 칭 탄 교수는 대기 중 수증기 포집기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기후적응 기술혁신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모아보기]
국내 최대 기후테크 박람회…“탄소중립 위해 ‘파괴적 혁신’ 필요”
아시아 최초 NYT 기후행사…한 총리 “‘가장 흥미로운’ 기후테크는 CCUS”
NYT가 꼽은 ‘기후위기 극복’ 기술은? “모빌리티·NBS·수소!”
이회성 IPCC 의장 “보호무역주의 정책 기후대응 해칠까 우려돼”
순환경제·원자력·수소·재생에너지 등 국내 기후테크 현주소는?
기후테크 5대 분야 대표하는 국내 스타트업은?
⑦ BCG·BASF 등 기후대응서 업종별 공동 대응 강조…“순환경제 전환도 대두”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그린비즈, 스타트업

아프리카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5,500만 달러 투자…이퀘이터의 전략은?

그린비즈

기후 투자 패러다임 전환, ESG 대신 ‘리질리언스’ 주목

그린비즈, 스타트업

SAF 개발사 Twelve, 1,200억원 추가 투자 유치…탄소변환 기술 상용화 가속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