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지난 3월 25일(현지시각) 공동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이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습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야심찬 목표와 정책이 2030년까지 세계 GDP 순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반면 기후위기를 방치할 경우, 이번 세기 말까지 전 세계 GDP의 3분의 1이 손실될 수 있으며, 유럽은 ‘영구적인 경기침체(permanent recession)’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기후 투자는 결국 경제성장의 전략!
UNDP 아킴 슈타이너 사무총장은 독일 베를린의 ‘유럽 2025 컨퍼런스’에서 “기후 전환에 투자하면 GDP 성장률이 완만하게 증가하다 이후 빠르게 확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은 2050년까지 1인당 GDP가 2025년 대비 약 60% 증가하고, 저소득 국가는 12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와 함께, 기후 투자는 개발도상국의 빈곤 퇴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2030년까지 약 1억 7,500만 명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후위기가 단지 경제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사회·안보 위협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UN기후변화협약(UNFCCC) 사이먼 스티엘 사무총장은 “기후 붕괴는 단순한 위기가 아니라 경제를 지속적으로 축소시키고 실업률을 급증시키는 구조적 위기”라며 “국가 안보의 최상위 과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후 투자, 태양광…이미 경제성 입증
OECD와 UNDP는 이번 보고서에서 2040년까지 세계 경제가 기후 대응을 통해 GDP의 0.23%에 해당하는 순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특히 배출량이 감소하는 시점 이후에는 이 수치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기후 재난과 피해를 예방하여 얻게 되는 경제적 편익이 대응 비용을 초과한다는 분석입니다.
2050년까지 매년 GDP의 0.2% 수준 투자로 필요 수준의 기후 대응이 가능하기에 매우 합리적인 수준의 투자로 평가됩니다.
이런 기후 대응의 경제성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매우 돋보입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이 중 약 3분의 2는 중국이 차지했습니다.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IRENA 사무총장은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확대는 경제성이 입증된 기술이라는 증거”라고 평가했습니다.
재생에너지 확대는 고용 확대에서도 긍정적 입니다. 청정에너지 부문에서는 약 150만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 반면, 화석연료 산업에서도 불과 약 100만 개의 일자리가 생겼습니다. 청정에너지의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넷제로 정책, 경제성장과 양립 가능
보고서는 넷제로(탄소중립) 전환이 경제 성장과 충돌한다는 비판을 반박하며, 기후 대응과 경제 성장은 상호 충돌이 아닌 시너지 관계에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OECD는 일부 국가들이 경제적 손실 우려로 기후 행동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이 오히려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술 혁신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해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습니다.
OECD와 UNDP는 2025년 국가결정기여(NDC) 제출하는 주기가 전세계 기후 대응 전략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부연 설명했습니다. 이는 각국이 기후, 개발, 성장의 우선순위를 조율하여 협력적 투자 전략을 수립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2035년 NDC를 제출한 국가는 19개국에 불과해, 기후위기의 시급성이 세계적으로 충분히 인식되지 않고 있습니다.
OECD는 이러한 지연이 필수적인 기후 투자를 늦추고, 결과적으로 장기적 번영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