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0년 해수면 1m 상승 시 세계 주요 항구 13곳 침수…에너지 위기 올수도”

“전남 광양항 포함…한국 에너지안보 해수면 상승에 몹시 취약”

기후변화로 인해 현 추세로 해수면이 상승할 경우 2070년 세계 주요 항구 13곳이 침수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남 광양항 역시도 13곳에 포함됐습니다.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각) 영국 가디언은 기후정책 연구 네트워크 ‘국제 지구빙하권 기후 이니셔티브(ICCI)’가 최근 발표한 ‘2024년 빙하권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보고서는 50여명의 기후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작성했습니다.

ICCI는 보고서에서 지금처럼 빙상(氷床)이 붕괴될 경우 2070년 해수면 1m 상승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봤습니다. 또 2100년대초에는 해수면 상승이 3m에 이를 것으로 봤습니다.

이와 함께 가디언은 유조선 교통량이 많은 세계 주요 항구들의 피해를 따져본 기존 연구 결과를 함께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앞서 중국 비영리 싱크탱크 중국물위험(CWR)은 초대형 유조선이 드나드는 세계 주요 항구 15곳 가운데 13곳이 해수면 1m 상승에 따라 각종 기반시설이 파괴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13곳에는 ①미국 휴스턴 ②갤버스턴 ③사우디아라비아 라스타누라 ④얀부 ⑤네덜란드 로테르담 ⑥러시아 우스트루가 ⑦아랍에미리트(UAE) 푸자이라 ⑧코르파간 ⑨중국 다롄 ⑩닝보저우산 ⑪상하이 ⑫싱가포르 ⑬한국 광양이 포함됐습니다.

 

13개 항구 해수면 상승에 침수 시 세계 에너지 대란

해당 항구들은 저지대에 자리 잡고 있어서 해수면 1m 상승 시 부두와 석유 저장시설 등 각종 기반시설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3년 기준 13개 항구에서 이뤄진 석유 수출은 전 세계 20%를 차지합니다.

같은해 사우디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가 운영하는 라스타누라와 얀부 2개 항구에서 수출된 석유는 2,140억 달러(약 312조 원)에 이릅니다.

달리 말하면 이들 지역이 침수될 경우 심각한 수준의 국제 에너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다른 기후과학 연구기관들 역시 비슷한 해수면 상승 연구 결과를 내놓은 바 있습니다.

팸 피어슨 ICCI 이사는 “화석연료를 나르는 항구들이 해수면 1m 상승에 취약하다”며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사용에서 비롯한 결과로 야기한 해수면 상승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역설적”이라고 말했습니다.

 

▲ 중국 비영리 싱크탱크 중국물위험(CWR)은 해수면 1m 상승 시 세계 주요 항구 13곳이 위험에 처할 곳으로 봤다. 사진 속 검정색으로 표시된 곳이 침수 위협에 직면한 곳들이다. ©CWR

중국 싱크탱크, 한국 4개 수입항 해수면 상승 매우 취약

한편, 중국 싱크탱크 CWR은 광양만이 아니라 한국 주요 4개 석유 수입항이 모두 해수면 1m 상승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봤습니다. ▲울산 온산항 ▲충남 대산항 ▲전남 여수항 ▲인천항 등이 언급됐습니다. 기관은 한국의 에너지안보가 해수면 상승에 매우 취약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분단으로 인해 사실상 섬나라나 다름 없어 국제적인 석유 파이프라인이 없고, 모든 원유와 석유 제품의 수출입이 유조선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타격이 크다는 겁니다. 일본 역시 같은 이유로 피해가 클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됐습니다.

CWR은 보고서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해수면 상승과 연안 위협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며 “그런데도 전환 속도가 느리다”고 꼬집었습니다. 이에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고 CWR은 강조했습니다.

물론 한국만 대비한다고 해서 끝나는 문제는 아닙니다.

국내 주요 석유 공급처인 사우디·쿠웨이트·UAE·미국의 주요 항구 6곳 모두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받는 지역에 위치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이들 4개국으로부터 원유의 약 70%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화석연료 수입 총액은 1,714억 달러(약 250조 원)입니다. 이중 원유와 석유제품 수입액은 1,128억 달러(약 164조 원)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항구 침수 시 관련 산업 역시 간접 피해 가능성 ↑

나아가 이와 연관된 산업들 역시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사례 연구도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는 최근 김민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해안 침수로 인한 울산 지역의 직·간접 피해를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울산 산업단지는 해안선을 따라 밀접해 있습니다. 평탄한 해안선과 높은 산업 밀집도로 인해 해안 침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해안 침수 시 울산지역의 석유화학 산업의 직접 피해액은 79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간접 피해액은 1,744억 원으로 약 22배에 이르렀습니다.

플라스틱·건설업 등 여러 연관 산업까지 그 피해가 확산했다는 겁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하루빨리 온실가스를 줄여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습니다. 국제연구기관 탄소제로애널리틱스(ZCA)의 머레이 워디 선임연구원은 “온난화되는 지구에서 화석연료에 계속 의존하는 것은 에너지안보가 아닌 재앙의 길”이라고 일침을 놓았습니다.

그는 이어 해수면 방벽 건설 같은 노력이 중장기적으로는 패배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화석연료 연소가 계속되는 이상 “시간이 흐를수록 방벽을 더 높게 건설해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워디 선임연구원은 이야기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환경, 정책

트럼프 파리협약 탈퇴 직후, 브라질 “COP30 의장에 40여년 기후외교관 지명”

기후·환경, 경제

美 연준, 트럼프 복귀 앞두고 세계 기후대응 협의체 탈퇴

기후·환경, 정책

트럼프 2기 에너지부 장관 예비 청문회 개최…LNG·원전·지열 강조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