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협력해 미세플라스틱 분야 국제 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지난 17일 밝혔습니다.
OECD의 ‘환경·보건·안전(EHS)’ 사업으로 채택돼 진행되는 미세플라스틱 분야 공동연구의 첫 사례입니다. 이는 화학물질의 환경·보건·안전 측면을 강조한 정책과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운영 중인 사업을 말합니다.
한국 정부가 제안한 이 공동연구는 이달 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6차 OECD 화학생명공학위원회(CBC)에서 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함께 만장일치로 최종 승인을 얻었습니다.
최근 미세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관심이 높아진 만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미세플라스틱 정책 수립 토대를 마련하고자 공동연구를 제안했다고 환경부는 밝혔습니다.
그간 과학계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 등을 두고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말이 계속 나왔습니다.
환경부, 2025년부터 미세플라스틱 유해성 연구 본격 🧪
이번 국제 공동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표준물질 개발과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와 독성 시험 평가 등의 내용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진행됩니다. OECD 38개 회원국 전문가들의 활발한 정보공유와 함께 공동연구가 이뤄집니다.
내년 상반기부터 한국 정부의 주관 아래 워크숍이 열립니다.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 수행의 범위와 참여 회원국 그리고 소관 작업반을 결정하는 등 심층 논의가 이루어집니다.
연구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주도합니다. 이를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의 중장기계획에 ‘미세플라스틱 전과정 통합관리 연구’ 내 세부과제가 마련됩니다. 향후 6년간(2025~2030년) 516억 원을 투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주OECD 대한민국대표부도 이를 지원하고자 3만 유로(약 4,400만 원)의 기여금을 OECD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환경부는 덧붙였습니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제5차 플라스틱 국제협약 정부간협상위원회(INC-5)가 국내(부산)에서 개최되는 만큼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전 세계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박 국장은 이어 “이번 국제 공동연구는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국제사회의 연구 역량 입지 구축과 함께 향후 미세플라스틱에 관한 실효성 있는 환경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유럽연합(EU) 측은 오는 부산에서 열릴 회의에서 의도적인 미세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는 안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치약이나 화장품 등 미세플라스틱이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규제 하겠다는 뜻입니다.
EU는 2030년까지 미세플라스틱 배출량을 30% 줄이겠단 자체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