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중국산 바이오디젤 수출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중국산 바이오디젤에 최대 36.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지난 19일(이하 현지시각)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1월 EU 집행위가 착수한 반(反)덤핑 조사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조사 결과, 중국산 바이오디젤이 초저가로 EU에 수입돼 유럽 생산자에게 심각한 손해를 입혔다는 것이 EU 집행위의 판단입니다.
이달 들어 중국산 청정기술 관련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 건 전기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25일 그리니엄이 확인한 결과, 중국 상무부는 아직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청정에너지 관련 EU-중국 간 무역갈등이 더 확대될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EU, 중국산 바이오디젤 최대 36.4% 추가 관세 부과 💸
EU는 탄소중립 달성과 러시아산 천연가스로부터의 탈피를 위해 청정에너지 확장을 독려해 왔습니다.
그중에서도 바이오디젤은 수송·항공업계 같이 전기화가 어려운 산업군의 해결책으로 기대돼 여러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그러나 유럽 바이오디젤 업계에서는 이같은 지원을 중국 기업이 누리고 있단 비판을 제기해 왔습니다.
EU 집행위가 중국산 바이오디젤 관련 반덤핑 조사에 나선 이유입니다.
이에 EU 집행위는 중국 바이오디젤 기업의 수출에 최소 12.8%에서 최대 36.4%의 추가 관세를 임시로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추가 관세는 중국 기업별로 다릅니다. ▲지아오 그룹 36.4% ▲주오위에 그룹 25.4% ▲에코세리스 그룹 12.8% 등입니다. 이는 각 기업이 덤핑 행위로 인해 취득한 이익을 역산해 추산됐습니다. 추가 관세 대상에서 지속가능 항공연료(SAF)는 잠정 제외됐습니다.
해당 관세는 오는 8월 16일부터 임시 발효됩니다.
관세가 완전히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바이오디젤 덤핑 조사는 내년 2월까지 이어질 예정집니다. 이후 EU 집행위는 조사를 마치고 향후 5년 간의 관세 부과 여부를 확정할 계획입니다.

‘2년간 고통’ 호소한 EU 바이오업계, 즉각 환영 👏
유럽 산업계는 즉각 환영을 표했습니다.
먼저 유럽폐기물기반첨단바이오연료협회(EWABA)는 이 조치가 “2022년 연말 이후 극심한 경쟁을 겪은 시장을 정상화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엔젤 알베르디 EWABA 사무총장 또한 “우리 회원들은 지난 2년간 대부분 적자였다”며 “오늘은 EU 산업 전반에 좋은 날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디콘 포스넷 유럽 바이오디젤협회(EBB) 회장은 “유럽 기업은 불공정 가격의 중국 수입품으로 너무 오랫동안 고통을 겪었다”며 “EU 집행위의 조치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EBB는 지난해부터 초저가 중국산 바이오디젤에 대한 당국의 조사를 촉구해 왔습니다.
지난 9일에는 셰브론·브리티시페트롤리엄(BP)·로열더치쉘의 연이은 휴업·프로젝트 중단을 언급하며 EU 집행위의 긴급조치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SAF 제외는 우려…단기적 영향 없단 전망도” 📣
다만, EBB는 EU의 추가 관세 조치에 SAF가 제외됐다는 점에는 우려를 표했습니다.
중국산 SAF의 불공정 무역을 해결하지 않으면 “(역내)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끼쳐 앞으로 중국에 의존해야 할 수 있다”는 것이 EBB의 지적입니다.
이같은 우려는 중국의 SAF 의무화를 앞두고 중국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는 상황을 배경으로 합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큰 반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습니다.
블룸버그통신 산하 연구기관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의 브렛 깁스 분석가는 EU 지역 내 이미 충분한 양의 바이오디젤이 공급됐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실제로 중국 기업은 2023년 막대한 양의 바이오디젤을 이미 수출했습니다. 그중 대(對)EU 수출량은 180만 톤에 달했습니다. 바이오디젤 총수출량의 90%에 해당하는 물량입니다.
장기적 영향과 별개로 단기적으로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단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