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미래 강조한 기후변화 정보? 오히려 무력감 유발, 행동 변화 방해

UNIST·부산대 등 63개국 연구진, 기후변화 인식 분석

기후변화의 어두운 미래를 강조한 메시지가 오히려 기후대응에 방해를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17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의하면, 정동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과 설선혜 부산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63개국 255명의 국제 연구진과 함께 메시지 개입 방식이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기후대응 행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11가지 심리적 메시지를 선정했습니다. 심리적 거리, 부정적 감정, 미래세대에 대한 영향 등이 포함됐습니다.

 

부정적 기후메시지, 기후정책·행동에 오히려 부정적 🤔

연구팀은 각 메시지의 영향을 측정하고자 4가지 지표를 이용했습니다.

①기후변화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믿음 ②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지 정도 ③기후위기 정보 공유 의지 ④나무 심기 캠페인 수행 순입니다.

연구팀은 63개국 5만 9,440명으로부터 참가자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로 인한 어두운 미래를 강조한 메시지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에서 정보 공유에는 효과적이었습니다.

그러나 기후정책 지지나 개인 신념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나무 심기 캠페인 같이 실제 기후대응을 위한 활동에는 되레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부정적인 메시지가 무력감을 유발해 행동 변화를 방해했단 것입니다.

다른 메시지로도 실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 (A)기후위기에 대한 개인 신념과 (B)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나라별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C)기후위기 소식을 전파하려는 의도와 (D)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개인 노력의 정도에는 나라별 큰 차이가 관찰됐다. ©UNIST 제공

“청중 맞춤형 기후메시지 설계 필요” 🔊

연구팀은 기후대응을 위한 만능 해결책이 없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대중은 기후메시지에 다르게 반응했으며, 똑같은 메시지라도 국가별로 반응이 달랐습니다,

각 메시지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맥락에서 효과를 발휘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말입니다.

즉, 각 청중에게 맞춘 기후메시지를 설계해야 한단 것.

정 교수는 “연구를 통해 기후변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를 이끄는 메시지 전략을 이해할 수 있었다”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와 정책이 함께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연구는 지난 2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습니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으로 이뤄졌습니다.

 

👉 탄녹위 미디어 콘퍼런스 “레거시 미디어와 달리 그리니엄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환경, 경제

美 연준, 트럼프 복귀 앞두고 세계 기후대응 협의체 탈퇴

기후·환경, 정책

트럼프 2기 에너지부 장관 예비 청문회 개최…LNG·원전·지열 강조

기후·환경, 정책

OECD 화석연료 공적금융 중단 사실상 실패 “한국·튀르키예·호주 반대 거세”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