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이 마이크로소프트(MS)와 12GW(기가와트) 규모의 대규모 태양광 패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9일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은 미국에서 이뤄진 태양광 파트너십 중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계약이며, 발전소 EPC(설계·조달·시공) 서비스도 포함됩니다. 계약 기간은 2025년부터 2032년까지 8년입니다.
한화큐셀은 앞서 작년 1월 2.5GW 규모의 태양광 패널을 공급하기로 MS와 계약한 바 있습니다.
지난 계약까지 모두 합치면 한화큐셀이 MS에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은 18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한화큐셀은 “2022년 한해 미국 전역에 새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약 21GW)의 60%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한화큐셀은 2022년 미국 주택용과 상업용 태양광 패널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했습니다.
바비 홀리스 MS 부사장은 “한화큐셀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추가 도입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미국 내 친환경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고 태양광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S는 2030년까지 지속가능성 목표 중 하나인 ‘탄소네거티브’를 달성한단 계획입니다.
한화큐셀 美 시장 공략 목표로 조지아주에 최대 규모 태양광 공장 건설 ☀️
한화그룹 자회사인 한화큐셀은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로 현재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먼저 2019년 미 남부 조지아주 달튼에 첫 태양광 패널 공장을 건설했습니다. 이 공장은 서반구 최대 규모의 시설로 알려졌습니다. 달튼 공장은 올해까지 연간 생산능력을 기존 1.7GW에서 5.1GW까지 늘린단 계획입니다.
지난해 3월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달튼 공장을 직접 방문한 바 있습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당시 한화큐셀이 1.2GW 규모의 태양광 패널을 수주한단 소식을 전했습니다.
또 2023년에는 달튼에서 남쪽으로 약 56㎞ 떨어진 카터스빌 외곽에 두 번째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이 공장은 이르면 올해 4월부터 태양광 패널을 생산할 시작입니다.
이 지역은 조지아 주도이자 최대도시인 애틀랜타에서 자동차로 1시간 이내일 뿐더러, 접근성이 좋아 물류 운영이나 인력 채용이 비교적 쉽단 입지적 장점이 있습니다.

한화큐셀, 2024년까지 3.2조 투자해 美에 ‘솔라 허브’ 구축…그 이유는? 💰
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최대 수혜자로 국내 기업 중에서는 한화큐셀이 꼽힙니다.
IRA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 기업도 첨단제조 생산세액공제(AMPC)에 따라 미국에서 제조한 태양광 패널에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한화큐셀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통합 생산 단지인 ‘솔라 허브’를 구축한단 계획입니다.
조지아주에 연간 8.4GW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라고 사측은 밝혔습니다. 이는 13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입니다.
IBK투자증권은 솔라 허브 완공 시 첫 2년간(2025~2026년) 연간 1조 1,000억 원 규모의 세액공제를 예상한 바 있습니다.
이에 한화큐셀은 올해까지 조지아주에 총 3조 2,000억 원을 투입합니다. 이중 3조 원이 솔라 허브 건설에 사용됩니다. 한화그룹의 해외투자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입니다.
이같은 투자를 통해 IRA에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단 것이 한화큐셀의 설명입니다. 이구영 한화큐셀 대표는 “솔라 허브가 본격 가동에 들어가면 태양광 사업 매출과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4조 투자해 美 폴리실리콘 공급망 확보…“안정적 공급망 구축” ⛅
태양광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전하기 위한 투자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작년 9월 한화솔루션은 노르웨이 폴리실리콘 제조업체 REC실리콘으로부터 향후 10년간 미국산 저탄소 폴리실리콘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규모는 30억 달러(약 4조원)로 추정됩니다.
REC실리콘은 미 북서부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을 한화큐셀에 공급한단 구상입니다. 폴리실리콘은 셀의 핵심원료입니다.
솔라 허브가 완공되면, 한화큐셀은 미국 최초의 태양광 제조를 위한 통합 공급망을 갖추게 됩니다. 태양광 밸류체인은 통상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집니다.
솔라 허브에서는 정제된 폴리실리콘을 가열하여 거대한 원형 실린더로 성형하고, 이를 머리카락 굵기보다 얇은 웨이퍼로 만듭니다. 이후 화학처리를 통해 웨이퍼를 태양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지셀로 만드는 것. 이 셀이 태양광 패널로 조립됩니다.
단일 기업이 북미 지역에 태양광 핵심 밸류체인별 생산라인을 모두 갖추는 것은 한화그룹이 처음입니다.
한편, 미국 태양광 시장은 산업계 탄소감축 노력과 강력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시장조사기관 우드맥킨지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태양광 설치 수요는 2024년 36GW에서 2027년 42GW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