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 자발적 탄소시장 규제 동참…배출권 신규 규제·도입 예고 국가 아프리카 내 7개국으로 늘어

“정치불안은 미지수”

서아프리카 가나가 자발적 탄소시장(VCM)을 규제하는 법안을 마련 중입니다.

사무엘 지나포 가나 토지천연자원부 장관은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1차 아프리카 기후정상회담’ 폐막 직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난 8일(현지시각) 이같이 밝혔습니다.

지나포 장관은 “가나 내 VCM 규제를 위한 적절한 입법 정책이 필요하다”며 입법 과정에 있단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세부사항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탄소배출권으로 기업이 얻은 수익 중 일부를 가나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이로써 탄소배출권과 관련해 신규 규제나 도입을 예고한 아프리카 국가는 현재 7개국(짐바브웨·탄자니아·케냐·잠비아·모잠비크·말라위·가나)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들 아프리카 국가들의 탄소배출권 규제 움직임은 오는 11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다시 언급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아프리카 탄소배출권 생성 2030년 40%까지 끌어올려야 해” 📈

한편, 지난 6일(현지시각) 폐막한 아프리카 기후정상회담의 화두는 단연 VCM과 탄소배출권이었습니다. 아프리카연합(AU) 소속 55개국은 탄소시장 내 아프리카 영향력 확대 및 탄소배출권 생성 확대를 내세웠습니다.

켄 오포리 아타 가나 재무부 장관은 회담에서 “아프리카 대륙은 (열대우림과 같은) 자연기반솔루션(NBS)이 풍부하다”며 “이중 단 2%만이 탄소배출권으로 전환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를 2030년까지 40%까지 끌어올려야 한단 것이 그의 설명입니다.

실제로 아프리카 기후정상회담 선언문에는 “(탄소시장에서) 아프리카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시행한다”는 문구가 명시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11월 결성된 ‘아프리카 탄소시장 이니셔티브(ACMI)’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권 연간 3억 개를 생성하고, 2050년까지 연간 15억 개를 생산한단 계획입니다.

실제로 회담에서 아랍에미리트(UAE)는 ACMI로부터 4억 5,000만 달러(약 6,000억원) 규모의 탄소배출권을 구매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영국 HSBC금융그룹 또한 2억 달러(약 2,660억원) 규모의 배출권을 구매하기로 선언하며 시장 규모 확대에 힘이 실린 상태입니다.

 

탄소배출권 가격·수익 높여야 한단 구상도…“정치불안은 미지수” 💰

향후 아프리카 내 탄소배출권 가격도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아프리카 55개국 정상은 탄소배출권 규제 및 지원을 통해 역내 기후대응에 필요한 재정을 충당한단 구상입니다.

아프리카 내 탄소배출권 가격은 북미나 유럽 등 다른 대륙과 비교해 낮은 만큼, 이를 다른 대륙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린단 것이 이들의 목표입니다.

이와 관련해 ACMI는 아프리카 내 탄소배출권으로 얻는 수익이 톤당 10달러(약 1만 3,300원)에 불과하단 점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프로젝트별로 다를 수 있으나 다른 대륙에서는 동일한 탄소배출권으로 톤당 수익이 100달러(약 13만 3,000원)에 이른단 것이 ACMI의 설명입니다.

다만, 정상회담에 참석한 일부 정상들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정치·사회적 불안으로 인해 아프리카 국가들이 세계 탄소시장에서 영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밝혔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카본

중국, 첫 자발적 탄소 배출권(CCER) 발행… 탄소 시장 본격 확대

카본

ICVCM, 쿡 스토브 탄소 크레딧 64% 퇴출… 시장 대변혁 예고

카본

C-퀘스트, 탄소크레딧 과다 발급 스캔들 속 파산 선언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