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국가들이 탄소세 및 자발적 탄소시장(VCM) 시장 확대 등을 통해 자력으로 기후대응에 나설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로 결의했습니다.
또 아프리카를 재생에너지 개발의 중심지로 키워나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아프리카와 세계를 위한 녹색성장 촉진과 기후재정 해법’을 주제로 지난 4일부터 6일(현지시각)까지 케냐 나이로비에서 사흘간 열린 ‘제1차 아프리카 기후정상회담’에서 아프리카연합(AU)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나이로비 선언(Nairobi Declaration)’을 채택했습니다.
참가국들이 채택한 나이로비 선언문은 오는 11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 제출돼 다른 국가들도 도입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아프리카 55개국 정상 ‘국제 탄소세’ 도입 촉구 💸
앞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개막식에서 국제사회가 탄소세에 대해 논의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탄소세는 땅에서 나오는 화석연료에 다 붙이는 것이 옳다”며 “(탄소세가 부과되면) 화석연료 채굴에 따른 피해로 인한 부담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세계기상기구(WMO)에 의하면, 지난해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뭄과 홍수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은 사람은 1억 1,000만 명에 달했습니다. 경제적 손실도 85억 달러(약 11조 2,000억원)로 추산됐습니다. 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평균의 4분의 1에도 못 미쳤습니다.
55개 국가가 소속된 아프리카 최대 정부간 협의체 AU는 루토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했습니다.
이에 선언문에는 화석연료의 채굴부터 유통 전 과정에 거쳐 국제 탄소세 부과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구체적으로 선언문에는 “화석연료 무역, 해상 및 항공운송에 대한 탄소세를 포함한 국제 탄소세 제도 도입을 지지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이 명시됐습니다.
국제 탄소세, COP28서 논의 예정…현실은? 🤔
실제로 COP28에서 해당 탄소세 논의가 법제화되면 화석연료가 내뿜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기후변화 피해액이 산정돼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번 회담에 참석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또한 각국 정상에게 COP28에서 국제 탄소세 계획 수립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국제 탄소세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주요 산유국들은 이같은 탄소세 도입에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이번 정상회의에 연사로 참석한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 또한 탄소세 논의에 선을 그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나이지리아·이집트 등 아프리카 경제대국 정상들이 이번 회의에 불참한 것도 전망을 어둡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탄소배출권 시장 확대 통해 재정적 여건 개선할 것”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에 따르면, 아프리카 국가들은 이미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로 연간 최대 150억 달러(약 20조원)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기후재난을 해결하느라 정작 재난의 원인인 기후변화를 해결할 재원과 자원이 부족한 ‘둠 루프(Doom Loop·파멸의 고리)’에 대한 경고가 나오는 상황입니다.
이에 정상들은 선언문에서 “(국제사회가) 아프리카의 부채 위기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피력했습니다.
아프리카 정상들은 탄소배출권 시장 확대를 통해 재정적 여건을 개선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아프리카는 열대우림 등 탄소흡수에 유리한 지형 조건을 갖춰 최적의 탄소상쇄·제거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조건을 갖췄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유엔이 창설한 이니셔티브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SE4ALL)’에 의하면, VCM 시장을 이끌 잠재성이 높은 곳으로 아프리카가 지목됐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아랍에미리트(UAE)는 ‘아프리카 탄소시장 이니셔티브(ACMI)’로부터 4억 5,000만 달러(약 6,000억원) 규모의 탄소배출권을 구매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영국 HSBC금융그룹 또한 2억 달러(약 2,660억원) 규모의 배출권을 구매하기로 선언하며 시장 규모 확대에 힘이 실린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같은 소식에 주요 환경단체는 즉각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회담이 열린 나이로비에서는 반대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는 직접적인 보상과 부채 탕감을 통해 아프리카 내 기후대응 역량을 도와야 한단 점을 피력했습니다.
청정에너지 전환 위해선 2030년까지 약 800조 필요 💰
한편, 선언문에는 아프리카 내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해 자금 조달이 개편돼야 한단 내용이 명시됐습니다.
구체적으로 정상들은 현재 56GW(기가와트) 수준에서 2030년까지 300GW의 재생에너지 목표를 만들기 위해선 6,000억 달러(약 800조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세계은행(WB) 등 다자간 개발은행의 지원 및 금융체계의 개혁도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