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 만에 충전 끝” CATL, 전기차 판도를 바꾸는 중

중국은 '교체소 1만 개' 확장 중, 국내는 법 규제로 기아 구독 모델 무산

니케이아시아의 지난 16일(현지 시각) 보도에 따르면, 중국 배터리 대기업 CATL이 ‘2분 배터리 교체 시스템’을 상용화하며 전기차 충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CATL은 중국 국영 정유사 시노펙과 협력해 연내 1,000개의 배터리 교체소(스왑 스테이션)를 설치하고, 향후 1만 개까지 확대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 서비스는 월 369위안(약 7만 원)의 구독 요금제로 운영되며, 사용자는 최대 600km 주행이 가능한 교체형 배터리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충전 시간이 걸리는 기존 방식의 한계를 넘어서면서, 배터리 소유와 관리 방식 자체를 바꾸는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유사한 혁신이 가로막혀 있습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은 배터리를 차량의 필수 부품으로 간주해, 소유권 분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기아가 추진하던 전기차 배터리 구독 서비스도 무기한 연기된 상황입니다. 완성차 업계는 “정책 공백으로 혁신이 지연되고 있다”며 관련 법 개정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국 CATL, ‘2분 교체’로 충전 방식의 상식을 뒤엎다

ATL은 배터리 교체 시간을 120초 이내로 단축한 ‘초코-스왑(Choco-Swap)’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차량을 리프트로 들어 올린 뒤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배터리를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급속 충전에 소요되는 수십 분의 대기 시간을 크게 줄입니다. 동시에 충전소의 병목 현상도 해소할 수 있어 인프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CATL은 중국 국영 에너지기업 시노펙과 함께 기존 주유소를 배터리 교체소로 전환 중입니다. 올해 말까지 1,000개소를 구축하고, 향후 1만 개소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교체소의 연간 운영비는 약 138만 위안(한화 약 2억 5,000만 원)으로 추산되지만, 하루 100건 이상의 교체가 이뤄질 경우 수익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분석입니다.

CATL은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해 월 구독형과 건당 과금형 요금제를 병행 운영하고 있습니다. 월 369위안으로 400~600km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초기 비용이 큰 기존 전기차 구매 방식에 비해 접근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중국 내 전기차 보급률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CATL은 배터리 교체 기술 외에도 5분 충전으로 520km를 주행할 수 있는 초고속 충전 배터리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경쟁사인 BYD 역시 유사 기술을 발표하면서, 충전 시간 단축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CATL의 로빈 쩡(Robin Zeng) 회장은 “2030년까지 충전소, 가정용 충전기, 교체형 충전소가 각각 3분의 1 비율로 구성되는 인프라 구조가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내 법적 제약에 발목…기아 구독 모델 무산

반면 국내는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배터리 구독 및 교체 모델의 도입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은 배터리를 차량의 필수 부품으로 간주해 소유권 분리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기아가 시범 운영하려던 전기차 배터리 구독 모델도 무기한 연기됐습니다. 일부 규제가 완화된 5개 도시에서는 택시와 화물차를 대상으로 실증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로는 확장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제도적 한계로 국내 전기차 시장이 대중화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캐즘(Chasm)’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캐즘은 초기 수용자(early adopters)와 대중 시장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뜻하며, 기술이 보편화되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고비로 꼽힙니다. 하지만 배터리 구독이나 교체형 모델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이 여전하고, 인프라도 충분히 갖춰지지 않아 일반 소비자 확산이 가로막히고 있습니다.

특히 배터리는 차량 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고가 부품으로, 소유권 분리를 통해 초기 비용을 낮추는 방식이 절실한 실정입니다. 그러나 현 제도 아래에서는 ‘반값 전기차’와 같은 혁신적 접근이 어려우며, 그에 따라 소비자 구매력도 위축되고 있습니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수요 둔화에 대응해 생산량을 줄이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지난해 말 ‘친환경차·이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관련 법 개정을 예고했으나, 아직 국회 발의나 심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업계는 “2025년 내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기술 격차는 돌이킬 수 없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는 배터리 구독 및 교체 모델, 이른바 BaaS(Battery-as-a-Service)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중국 니오(NIO)는 배터리 교체 기술을 기반으로 25개국에 스왑 스테이션을 구축 중이며, 유럽연합은 배터리 규정(EU Battery Regulation)에 ‘제3자에 의한 탈부착 가능 여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국, 인도 등에서는 BaaS 모델이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중국은 민관 협력과 정책 유연성을 바탕으로 관련 기술과 인프라를 빠르게 확산시키며 글로벌 표준 형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제도 경직성 탓에 혁신 흐름에서 이탈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산업 경쟁력에서 뒤처질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배터리 소유권 분리와 구독 모델 도입을 위한 법 개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테크

지정학·테크·무역에서 외교까지 기후테크 5대 예측

BYD30주년

기후테크

혁신으로 글로벌 리더가 된 BYD의 30년 여정

기후테크, 경제

공급과잉·추가관세 속 2024년 중국 클린테크 해외직접투자로 생존 모색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