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반도체·배터리 등 11개 주요 업종협회를 만나 올해 산업 전망과 통상대응 현황을 논의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통상 문제를 민관이 공동으로 대응하자는 취지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승열 산자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제1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협의체에는 반도체 등 주요 11개 업종협회가 참석했습니다.
산자부는 협의회에서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출·외국인투자 상승세 유지 ▲주력산업 위기 극복 ▲안정적 에너지 수출산업화 등을 주요 테마로 제시했습니다.
이에 맞춰 올해 정부와 민간이 한팀이 돼 업종별로 중점적으로 수행해 나갈 역할을 점검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정책, 민관 공동 대응해야”
이날 협의회에서 업종협회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 등 주요 통상문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예상되는 관세·비관세 정책 등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정부와 함께 반도체·자동차·철강 등 주력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수출 활력 유지를 위해 마케팅·인증 등 지원수단도 동원됩니다.
이 실장은 “민관이 협업해야 대내외 불확실성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민관 소통과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들이 대미활동에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민간의 가용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정부와 공동 대응해주기를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