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유엔 산하 탄소중립금융 이니셔티브에서 탈퇴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성명을 통해 ‘탄소중립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한다고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각) 밝혔습니다.
9일 확인한 결과, 골드만삭스가 탈퇴하며 현재 NZBA 가입 기업 수는 44개국 145개 기업으로 집계됐습니다. 자산 규모는 74조 달러(약 10경 5,970조 원)에 달합니다.
NZBA는 ‘탄소중립을 위한 글래스고 금융연합(GFANZ)’ 산하 은행을 위한 기후금융 협의체입니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국내 은행 중에서는 7개 기업이 가입돼 있습니다. ▲하나금융그룹 ▲기업은행 ▲JB금융그룹 ▲KB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신한금융그룹 ▲우리금융지주 등입니다.
골드만삭스의 탈퇴는 업계 주요 은행이자 초기 가입사의 탈퇴란 점에서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결정은 NZBA 가입 시 반(反)독점 규정을 위반할 수 있다는 일부 공화당 정치인들의 압박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논평했습니다.
NZBA 측은 골드만삭스 탈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지난 8월 CA100+ 탈퇴 성명과 유사…공화당 압박 때문 🚨
골드만삭스는 명확한 탈퇴 이유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은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고객의 지속가능성 목표를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올해 8월 골드만삭스 산하 골드만삭스자산운용(GSAM)이 ‘기후행동100+(이하 CA100+)’ 이니셔티브를 탈퇴했을 당시 성명과 유사합니다.
당시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탈퇴 이유로 자체적으로 지속가능한 투자 역량을 갖췄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업 자체적인 역량을 갖췄으니 단체 행동이 아닌 독자적 활동에 나서겠다는 메시지입니다.
그러나 지금과 마찬가지로 공화당의 압박이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CA100+ 탈퇴 직전 공화당 우위의 미국 하원이 이들 금융사에 직접적 압박을 가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CA100+ 가입 금융기관에 대해 청문회를 열고 탈퇴 요구 서한을 보내는 등이 이어졌습니다. 금융사가 투자대상 기업에 온실가스 감축을 요구하는 것이 반독점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주장입니다.
그 여파는 최근까지도 미치고 있습니다. 지난 1일에는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이 CA100+에서 탈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NZBA 탈퇴를 앞두고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됐습니다. 지난달 27일 미국 공화당 주도 주정부 11곳이 세계 3대 자산운용사 블랙록·뱅가드·스테이트스트리트를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고소한 것입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당선인의 집권 2기가 다가오는 상황에서 압박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현 상황을 전했습니다.
골드만삭스 “지속가능성 목표 이어 나갈 것” 🎯
한편, 골드만삭스는 NZBA 탈퇴와 별개로 지속가능성 노력을 계속 이어 나갈 것이란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성명에서 사측은 “최근 몇 년 동안 회사의 탄소중립 목표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며 “앞으로 몇 달 안에 더 많은 진전을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우리의 우선순위는 고객이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고 진행 상황을 측정해 보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기후금융의 저명인사이자 GFANZ의 전임 기술고문인 데이비드 칼린은 이같은 징후가 “월가(미국 금융계)가 환경정책을 포기하는 신호는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주요 기관이 이런 협업을 떠나는 것을 보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면서도 “하지만 그들이 탄소중립 약속을 거부한 것은 아니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스틴컨설팅그룹의 기후·지속가능성 프로젝트 선임인 제인 자말 또한 소셜미디어(SNS)에서 “여러 회사가 떠났지만 그들 대부분은 전략이나 자체 공약을 변경하지 않았다”고 짚었습니다. 확대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