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밤 10시 25분께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긴급담화를 열고 비상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44년 만입니다.
이는 대통령실 참모들 대다수가 모른 채 극비리에 준비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직후 무장 계엄군이 국회로 몰려왔습니다. 헬기와 장갑차가 이동하는 등 긴장 상황이 펼쳐졌습니다. 이는 이튿날(4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 비상계엄 해제요구 결의안이 상정돼 표결이 이루어졌습니다. 표결에 참여한 의원 190명 전원 찬성으로 계엄령 선포는 해제됐습니다.
이후 약 3시간 30분 뒤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열고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를 수용해 계엄을 해제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진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안이 의결돼 계엄은 해제됐습니다.
그러나 현재 비상계엄 선포를 두고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한국 정부서 계엄령 사전통보 받지 못 해 🇺🇸
미국 등 주요국은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으며 현 상황 역시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윤석열 대통령이 우려스러운 계엄령 선포에 관해 방향을 바꿔 계엄을 해제하는 한국 국회의 표결을 존중한 것에 대해 안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변인은 “민주주의는 한미동맹의 근간”이라며 “계속해서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미 정부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사전에 발표를 통지받지 못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계엄 시행을 둘러싼 한미 간 조율은 없었을 분명히 밝힌 겁니다.
현재 아프리카 앙골라를 방문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막 브리핑을 받았다”며 “밤사이 상황에 대해 자세한 보고는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은 전했습니다.
앤서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역시 같은날 성명을 통해 “미국은 지난 24시간 동안 한국의 상황을 면밀히 주시해 왔다”며 “정치적 이견이 평화적이고 법치에 따라 해결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비상계엄 두고 일본·러시아·EU ‘중대한 관심’ 🌐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역시 한국의 비상계엄 관련 상황을 ‘중대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2025년 1월 방안해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방한과 관련해 아직 아무것도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다고 전했습니다.
인민일보·환구시보 등 중국 관영매체들 역시 한국의 비상계엄령과 관련해 속보를 쏟아냈습니다. 단, 시진핑 국가 중국주석은 아직 별도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관련 입장은 오늘 열릴 중국 외교부의 정례브리핑에서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전날(3일) 밤늦게 공지를 통해 “재한 중국인에게 냉정을 유지하고 한국의 정세 변화를 주시하며 안전의식을 강화하여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고 정치적 견해를 신중히 밝히며 공식 발표를 준수할 것을 당부한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 역시 현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러시아 국영통신사 인테르팍스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매체를 통해 “한국의 계엄령 선포 이후 상황이 우려스러우며 우리는 이를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유럽연합(EU)과 영국 정부 역시 한국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우크라이나·싱가포르 등 각국 대사관 역시 한국에 체류 중인 자국민에게 안전을 유의해줄 것을 권고했습니다.
스웨덴,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 연기 🤝
한편, 이번주(5~7일)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었던 울프 크리스터손 스웨덴 총리가 회담을 연기한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크리스터손 총리는 대변인 명의로 성명을 내 “최근 상황을 감안해 방문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오늘 아침 한국과 접촉했으며 앞으로 새로운 방문 일정을 찾기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해외 정상이 한국에 체류 중인 상황임에도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을 두고 비판도 일었습니다.
현재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2~4일 한국을 공식방문 중입니다. 비상계엄이 선포됐던 날(3일)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역시 장·차관급 일정을 단축하거나 취소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