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소형모듈원전(SMR)을 대구에 건설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건설 장소로는 대구경북 신공항 인근 군위군 일원에 들어설 첨단산업단지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SMR은 대형 원자력발전보다 100분의 1 정도 규모의 원자로를 말합니다. 크기와 출력 모두 획기적으로 줄인 대신 입지 선정이 제한적이었던 기존 대형 원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단 장점이 있습니다.
5일 한국일보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대구시는 이달 중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SMR을 건설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대구시 SMR서 첨담산업단지 운영 전력 확보 구상…“결정 단계 아니야” 🤔
업무협약에는 기술력 등 SMR 건설을 위한 제반 업무는 한수원이 맡고, 대구시가 부지를 제공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구시는 SMR 건설을 통해 군위 첨단산업단지 운영에 필요한 전력 상당 부분을 확보한단 구상입니다. 해당 산업단지 면적은 630만㎡에 이릅니다. 신규 조성될 첨단산업단지는 반도체, 모빌리티 등 미래 신산업 융복합 기술단지로 만들겠단 것이 대구시의 설명입니다.
해당 산업단지 운영에 필요한 전력의 약 3분의 1 정도를 SMR에서 생산한단 방침입니다.
최근 공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하면, 정부는 2038년까지 0.7GW(기가와트) 규모의 SMR을 건설한단 계획입니다.
해당 SMR은 한수원이 개발 중인 ‘혁신형 SMR(i-SMR)’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SMR에 디지털트윈이나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접목한 것입니다.
SMR 운영에 필요한 냉각수는 인근 댐과 낙동강물을 끌어와 해결한단 구상입니다.
단, 대구시 관계자는 한수원과의 MOU에 대해 “아직 결정된 단계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유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관계자 역시 한국일보에 “현재까지 특정 지방자치단체와 논의된 것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11차 전기본은 관계부처 협의와 공청회, 국회 상임위원회 보고 등을 순차적으로 거쳐야 합니다. 이후 전력정책심의회의를 통해 최종 확정됩니다.
SMR 등 차세대 원자로 기술개발·실증에 2조 5000억 투입 💰
한편, 11차 전기본과는 별개로 정부는 2030년까지 국제사회 SMR 시장 진입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합니다.
2025년까지 혁신형 SMR에 대한 표준설계를 마치고, 차세대 원자로 설계 역량을 보유한 민간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조 5,00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 ‘K-ARDP’를 도입합니다. 이는 민관합동으로 기술개발과 실증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4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8차 심의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차세대 원자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실증 추진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민간 기업과 함께 기술개발을 넘어 실증까지 빠르게 실현하기 위한 ‘SMR 개발 로드맵’을 세운단 계획입니다. SMR 기술개발 목표와 달성 시점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로드맵은 올해 하반기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i-SMR 홀딩스(가칭) 등 사업화 기관도 설립합니다.
더불어 표준설계인가 신청 전까지 혁신형 SMR에 적용할 규제체계도 마련합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획 설립한 ‘SMR 규제연구추진단’이 중심이 돼 검증·평가 기술을 확보합니다.
또 올해 ‘차세대 원자로 연구조합’도 설립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하고 대형 프로젝트를 도입하는 등 (SMR)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