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타국보다 대비 늦어” 지속가능성 정보 담긴 EU ‘배터리 여권’ 대비 필요

“개별 기업 단독 대응 불가”

 

 

▲ 배터리 여권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주요 100개 기관이 참여 중인 ‘글로벌배터리연합’은 배터리 공급망 내 이해관계인을 크게 9개로 분류했다. 정부와 시민단체, 소비자 등은 제외한 것이다. ©GBA

 

 

▲ 경기 시흥시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서 보관 중인 전기자동차 사용후배터리의 모습. ©한국환경공단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순환경제, 순환디자인

비자, 순환 패션 분야 신진 기업가 양성 위한 ‘리사이클 더 런웨이’ 이니셔티브 출범

그린비즈, 산업

도이치뱅크 자회사, ‘그린워싱’에 400억 벌금

순환경제, 기후테크

무한 재활용” 탄소복합소재, 프랑스 페어맷의 AI 기술이 바꾼다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