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2027년 발사를 목표로 독자적인 온실가스 관측위성 개발에 나섭니다. 2027년부터 2년간 총 5대의 온실가스 관측위성이 발사될 예정입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경상국립대학교와 초소형 관측위성 개발연구 협력을 위해 지난 19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협약은 온실가스 농도를 관측할 수 있는 위성을 개발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환경과학원은 경상대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초소형 온실가스 관측위성 개발을 위한 연구 인력을 상호 교류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한단 계획입니다.
2019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온실가스 농도를 정확히 관측하기 위해선 위성 활용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유명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관측위성을 보유해야 한다”며 “향후 우리나라 온실가스 관측위성의 자료를 공유하고 누락된 온실가스 배출원 파악·배출량 검증·기후적응 대책 마련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밝혔습니다.
“주요국 온실가스 관측위성 운영”…韓 ‘탄소중립기본계획’서 필요성 대두 ⚖️
우리나라가 자체 온실가스 관측위성 개발에 뛰어든 이유는 주요국은 이미 운영 중이기 때문입니다. 일본·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이미 저궤도 위성으로 메탄(CH4)은 이산화탄소(CO₂)를 관측하고 있습니다.
2009년 1월 발사된 일본의 ‘고샛(GOSAT)’ 위성을 시작으로 세계 각지에서 온실가스 관측위성이 쏘아 올려졌습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궤도탄소관측(OCO)’ 위성을 발사했고, 유럽우주국(ESA)은 ‘센티널-5P(Sentinel-5P)’를 발사해 활용 중입니다.
캐나다 지에이치지샛(GHGSat) 같은 민간 기업에서도 온실가스 관측을 위한 초소형위성을 발사한 상황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온실가스를 관측할 수 있는 자체 위성이 없습니다.
현재 대기 중 온실가스 감시는 지상 관측소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국 도심·공업 지역에서의 데이터 수집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후대응을 위해선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하단 지적이 계속 나왔습니다.
이에 지난해 4월 확정된 ‘제1차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계획’에는 온실가스 관측위성을 개발한단 내용이 담겼습니다. 주요 관계부처는 기본계획 발표 당시 “온실가스 관측 및 해양·극지 재난 대응을 위해선 초소형 군집·복합위성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환경과학원은 온실가스 관측위성 개발이 탄소중립기본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韓 나라스페이스 서울대와 협력해 메탄 관측 초소형위성 개발 중” 🛰️
한편, 국내 기후테크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도 메탄 관측을 목표로 하는 초소형위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대 기후연구실과 함께 지난해 9월부터 추진 중입니다.
일명 ‘나르샤 프로젝트’로 명명된 사업입니다. 메탄 관측 위성이 배출량이 많은 지역을 찾아내거나, 특정 지역의 메탄 배출량 추이를 주기적으로 관측하는 작업에 활용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발사 계획은 미정입니다.
위성본체는 나라스페이스가 개발하고, 천문연구원이 탑재 카메라 개발을 맡습니다. 수집된 영상과 이미지를 활용해 메탄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개발은 서울대가 담당합니다.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비영리단체 환경보호기금(EDF)도 연구 과정에서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메탄은 정확한 배출 지점을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탄소중립을 지원할 수 있는 혁신적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면서 “특히, 메탄은 액화천연가스(LNG)와 같은 가스의 공급·분배·사용 시 다량 배출되기 때문에 메탄 감시가 기업의 탄소중립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는 “메탄 관측 위성을 대량생산해 군집으로 운용하면 전지구의 메탄발생원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