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가 과연 기후대응에 도움이 될까요? 이에 대한 답은 이해관계자별로 제각각입니다.
하나 확실한 것은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기후테크가 주요 화두로 떠올랐단 것입니다. ‘저탄소·탈탄소기술’이란 단어가 COP28 최종합의문에 들어갔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1992년 기후총회가 시작된 이래 처음 있는 일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의 김상협 위원장은 이런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지난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COP28 결과 공유와 대응 전략’ 행사에 참석한 김 위원장은 “정부를 넘어서는 주체들이 기후총회에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답했습니다.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또한 “이제 기후총회는 유엔총회와 다보스포럼, CES(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가 결합된 장소”라고 표현했습니다. COP28에 다녀온 한 관계자는 “기후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이 산업계의 핵심주제가 됐단 것을 느꼈다”고 답했습니다.
COP28 의장단에 따르면, 청정에너지·기후데이터·기후스마트농업·모빌리티 등 각 분야에서 100개 이상의 기후테크 기업이 이번 총회에 참가했습니다.
그렇다면 COP28에서는 기후테크와 관련해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을까요?
[편집자주]
韓 기업, COP28서 ‘기후대응 위한 AI·ML 솔루션 챌린지’ 우승 🏆
이번 기후총회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후테크 기업들이 대거 주목받았습니다.
또 자체적인 기상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이나 기후취약국들은 기후적응 산업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기후취약국들이 관심을 가진 기후테크 기업 중에는 우리나라 기업도 있습니다. 국내 인공위성 기업 쎄트렉아이의 AI 자회사인 에스아이에이(SIA)의 이야기입니다.
SIA는 COP28에서 열린 ‘기후대응을 위한 AI·ML 솔루션 챌린지’에서 우승자로 선정됐습니다.
이 대회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유네스코(UNESCO),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이 공동 주최한 행사로 AI와 ML(머신러닝)을 사용해 기후문제를 방지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열렸습니다.
SIA는 정지궤도 위성영상에 AI 기술을 접목해 날씨를 미리 파악하는 기술을 제공합니다. 지오클라우드는 구름의 이동경로, 지오레인은 강수량을 예측합니다.
기상레이더망 설치와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는 개도국 입장에서는 이같은 기술이 데이터 불균형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단 것.
사측에 따르면, 지오클라우드와 지오레인은 기존 기상레이더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2㎢(제곱킬로미터)의 준수한 수준의 해상도로 날씨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최예지 SIA 지구정보사업 부문장은 지난 14일 소풍벤처스가 주관한 행사에서 “그간 기상기후 예측 부문의 경우 정보가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한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R&D)이 지속됐으나 최근 민간에서도 다양한 솔루션이 나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 부문장은 이어 “국내 스타트업들도 기술력은 좋지만 글로벌 진출이 더딘 측면이 있는데, 기후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정부지원 사업과 자금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후변화, 우리 사회 주류화 위해선 기초교육부터 달라져야” 🎓
한편, 기후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선 관련 인재가 빠르게 육성돼야 한단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임철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는 지난 18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COP28 결과 공유 대국민 포럼’에서 기초교육에서부터 환경·기후 관련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대는 기후인력양성프로그램을 주제로 COP28에서 부대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임 교수 발표에 따르면 ▲환경부 기후변화 특성대학원 ▲탄소중립 특성대학원 ▲산림청 탄소흡수원 특성화대학원 등 인재양성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각 대학에서도 기후테크 산업 내 인재양성을 위한 커리큘럼이 운영 중입니다.
이에 대해 임 교수는 “이 프로그램들의 공통점은 과학기술 중심인 것”이라며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선 과학기술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과학기술로만 교육해서 우리 사회 주류가 될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 프로그램을 중단하자는 것이 아니라 기초·교양 교육을 통해 기후감수성과 역량을 갖춘 전 사회적 인재를 육성해야 한단 것이 그의 말입니다.
임 교수는 기후문제가 우리 사회의 주류로 떠오르기 위해선 교육부터 달라져야 한단 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임 교수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중학교 3,242개 중 환경·기후 관련 교과목을 선택한 학교는 213개입니다. 전체 학교의 6.6%에 불과합니다.
고등학교의 경우 2,369개교 중 21.9%인 518개교가 기후 또는 환경 관련 교과목을 택했습니다.
또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논문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 관련 논문 32만 3,192개 중 ‘기후변화’로 검색된 논문은 384개로 0.1%에 불과했습니다.
임 교수는 “현재 기후행동은 무관심층과 적극 행동층으로 나뉜 상황”이라며 “기후변화가 완전히 보편화되고 잘 아는 상태에서 행동할 수 있는 기회를 교육이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COP28 기후테크 업계 영향 모아보기]
① “기후테크 확산서 기후정의·기후탄력성 고려해야”
② COP28서 주목받은 韓 기후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