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2022년도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 대비 29.4%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3일 환경부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공공부문 관리제)’ 대상 789개 기관의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공공기관 청사 등 건물의 전기사용과 관용차량과 선박을 운행하는 과정 등에서 직간접적으로 배출한 온실가스를 합해 산출합니다.
공공부문 관리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 제26조에 의거해 2011년부터 시행 중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 2007~2009년 평균 배출량을 토대로 산정된 기준배출량(554만 톤)에서 29.4%(163만 톤)를 줄인 391만 톤*이 지난해 공공부문 배출량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하 모두 CO2eq(이산화탄소환산량)
789개 기관 중 지난해 감축량이 가장 높은 곳은? 😮
2022년 기준 기준치보다 배출량을 가장 많이 줄인 기관 유형은 지자체였습니다. 지자체 배출량은 기준치보다 34.9%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지방공사·공단(30.2%) ▲공공기관(28.6%) ▲국공립대학(26.3%) ▲중앙행정기관(22.7%) ▲시·도 교육청(15.9%) 순이었습니다.
지자체 중에서는 충남 홍성군(66.1%)의 감축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전남 여수시(64.1%)와 경남 김해시(59.8%)가 뒤를 이었습니다.
지방공사·공단은 기장군도시관리공단(56.8%), 공공기관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54.7%)의 감축률이 높았습니다.
2022년 공공부문 배출량 전년 대비 4.3% 증가…“코로나19 회복 여파” 🤔
단, 연도별로 살펴보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 자체는 소폭 증가했습니다.
2022년 공공부문 배출량은 391톤으로 2020년(370톤)과 2021년(375톤)보다 늘었습니다. 정확히는 2021년 대비 4.3% 늘어난 규모입니다.
환경부는 2021년보다 배출량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종식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배출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환경부는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제도를 재정비한단 계획입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2045년까지 2018년 대비 공공부문 건물·차량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공공부문 탄소중립 추진방안’을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는 27차 당사국총회(COP27)에서 나온 ‘탄소중립 정부 이니셔티브’에 따른 조치입니다.
정부는 공공부문 건물·차량 부문 배출량을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37% 감축하고,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유휴공간 내 재생에너지 생산·활용 확대 ▲공공부문 차량 내 전기·수소차 전환 가속화 위한 의무구매 평가 기준 강화 ▲녹색제품 의무구매 대상 공공기관 확대 ▲정부업무평가 등 인센티브 체계 개편 ▲기관별 감축계획 수립 등이 추진방안에 담겼습니다.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2050 국가 탄소중립 달성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선 공공부문의 노력과 성과가 모범이 돼야 한다”며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은 힘들고 어려운 길이지만 우리와 미래세대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