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협정 목표 달성 위한 ‘탄소예산’ 반토막…이르면 6년 안에 모두 소진

"탄소중립 2050년 아닌 2034년 달성해야”

인류가 배출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CO₂)가 6년 치밖에 남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인류가 지금과 같은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 이르면 2029년에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를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호주 멜버른대학교·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SA) 등 공동 연구진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지난달 30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했습니다.

 

1.5℃ 억제 위한 탄소예산이란? 🤔

1.5℃는 국제사회가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합의한 기온 상승 마지노선입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의 제6차 종합보고서(AR6)에 따르면, 지구 평균기온이 1.5℃ 상승하면 3억 5,000만 명의 도시인구가 물부족에 시달립니다.

아울러 극단적인 폭염과 홍수가 더 빈번해질뿐더러, 멸종위기 속도도 가팔라집니다. 일례로 1.5℃ 상승 시 세계 산호초의 약 70%는 멸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PCC는 2021년 제1실무그룹(WGI) 보고서에서 2020년 기준 ‘잔여 탄소배출허용량(이하 탄소예산)’*을 약 4,940억 톤**으로 분석한 바 있습니다.

탄소예산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배출 허용량입니다.

*RCB·Remaining Carbon Budget

**CO2e: 이산화탄소환산량

 

▲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 인류가 배출할 수 있는 잔여 탄소배출량, 즉 탄소예산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Climate Lab Book

“파리협정 달성 위한 탄소예산, 이르면 6년 안에 모두 소진” 🚨

연구진은 IPCC의 탄소예산이 2020년 자료를 토대로 작성된 점을 꼬집었습니다.

이에 연구진은 탄소예산을 2022년 말 기준으로 최신 업데이트했습니다. 2020년 이후 배출된 온실가스 양과 미래 지구 온난화를 추정하는 최신 모델도 모두 반영했습니다.

올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해보다 약 1% 늘어 역대 최대인 약 400억 톤 규모로 예상됩니다. 연구진은 이같은 배출량 추세가 계속될 것이란 단서를 달았습니다.

또 대기 중 햇빛을 반사시켜 지구 평균기온을 낮추는 에어로졸 입자가 줄어든 것도 모델링에 반영됐습니다.

그 결과, 현재와 같은 배출량 추세가 계속 이어지면 6년 안에 1.5℃ 이하 유지를 위한 탄소예산이 모두 소진된단 것이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에어로졸: 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입자다. 도시·산업시설 배출, 소각, 자동차 등의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탄소예산 반토막, 그 이유는?…“탄소배출량 ↑·에어로졸 ↓” 📊

연구 결과, 인류에게 남은 탄소예산도 절반가량 줄어들었습니다.

연구진이 IPCC의 탄소예산을 2022년 말 기준으로 최신화한 결과, 남은 탄소예산은 불과 약 2,470억 톤에 불과했습니다.

달리 말하면 IPCC 발표 직후 불과 2~3년 사이 탄소예산의 절반을 소진했단 뜻입니다. 그만큼 배출량이 많았단 것입니다.

탄소예산이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대기오염도 연관이 있습니다. 대기질 개선과 맞물려 에어로졸 입자 배출이 줄어든 것. 연구진은 에어로졸 배출 감소가 1.5℃ 목표 유지를 위한 탄소예산을 약 1,000억 톤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공중보건 측면에서 대기질 개선을 통한 에어로졸 감소는 긍정적이나, 지구온난화 관점에서는 냉각 효과를 유발하던 에어로졸이 점점 없어지면 온난화가 더 가속화된단 것이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더불어 인류가 온실가스 배출을 약 2,470억 톤 이내로 억제하더라도 1.5℃ 목표를 유지할 확률은 50%에 불과하다고 연구진은 덧붙였습니다.

기후대응 저지선이자 파리협정 목표 중 하나인 ‘2℃ 억제 목표’를 지키기 위해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도 9,400억 톤(달성 확률 66%)에 불과했습니다.

2℃ 목표를 66% 확률로 달성하기 위해선 2070년, 90% 달성하기 위해선 2050년까지 탄소중립에 이르러야 합니다.

 

▲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가 발간한 특별보고서’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포그래픽. ©WWF

“1.5℃ 상승 억제 위해선 탄소중립 2050년 아닌 2034년 달성해야” 🔔

특히, 국제사회가 1.5℃ 상승 억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중립을 2050년이 아니라 2034년까지 달성해야 한다고 연구진은 강조했습니다. 이는 지금까지 발표된 어떤 기후목표보다 빠른 시점입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임페리얼칼리지런던의 기후과학·정책 교수인 조에리 로겔지 박사는 1.5℃ 상승을 피할 가장 유망한 길이 사라졌다고 토로했습니다. 로겔지 박사는 IPCC 6차 종합보고서 주저자 중 한명입니다.

이어 그는 “탄소예산의 남은 양은 인류가 마주한 절망적인 상황을 보여준다”며 국제사회에 기후대응을 촉구했습니다.

같은대학 기후학자인 로밴 램볼 박사 또한 “1.5℃ 임계점을 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1.5℃ 상승을 막기 위해선 2032년 중반까지 5,000억 톤의 탄소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1.6℃나 1.7℃ 제한, 2℃ 상승보다 훨씬 희망적…기후대응 더 빨라져야” 🌎

연구 저자 중 한 명인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의 크리스토퍼 스미스 박사도 “각국 정부는 강한 정책으로 배출량을 통제할 수 있다”며 “그렇지만 현재 어느 국가도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스미스 박사는 “(금번 탄소예산 발표가) 기후변화를 해결할 시간이 불과 6년밖에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6℃나 1.7℃로 제한할 수 있다면 2℃ 상승하는 것보다 훨씬 희망적이기에 기후대응을 멈춰선 안 된다”고 피력했습니다.

한편, 연구진은 탄소예산 계산에 불확실성이 수반된단 점을 덧붙였습니다. 수정 데이터와 모델링에 따라 달라 탄소예산이 달라진단 것.

실제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화석연료 연소로 인한 세계 탄소배출량이 빠르면 올해 정점에 다다른 후 내년부터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환경, 정책

미국 환경보호청, 200억 달러 ‘그린 뱅크’ 보조금 전격 취소

기후·환경

미국, UN 기후 피해 기금 이사회 전격 탈퇴

기후·환경

지구 온난화 1.5℃ 돌파…“기후변화 임계점 맞았나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