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경제로의 전환이 신규 일자리 수백만 개를 창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일자리 연구의 약 84%가 선진국이 몰린 북반구에 한정돼 조사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순환경제 일자리 관련 연구가 개발도상국이 몰린 남반구에서도 진행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옵니다.

네덜란드 비영리연구기관 서클이코노미(Circle Economy)가 지난 9일(현지시각) 공개한 ‘순환경제에서의 양질의 일자리’ 보고서에 담긴 내용입니다. 이 보고서는 국제노동기구(ILO)와 세계은행(WB) 산하 청년고용해결(S4YE) 프로그램이 공동으로 제작했습니다.

서클이코노미는 3개 기관 간의 ‘순환경제 일자리 이니셔티브’에 따라 보고서를 제작하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이니셔티브는 순환경제 내 일자리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순환경제 일자리 연구 425개 중 84%, 북반구 초점…“정보격차 해소 필요” ⚖️

먼저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공개한 ‘제6차 종합보고서(AR6)’를 인용하며,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기후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IPCC의 AR6 보고서에서는 순환경제가 도시 내 중요 온실가스 감축 방법으로 강조됐습니다.

의류, 고철, 전자제품 등 폐기물 관련 재사용·재활용 산업에서만 최대 800만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고서는 순환경제 관련 신규 일자리 상당수가 남반구, 즉 남미와 카리브해 국가에서 생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대로 보고서는 순환경제 일자리와 관련된 연구의 상당수는 북반구에 몰려 있단 점을 지적합니다.

 

▲ 서클이코노미 등 3개 기관이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27년간1995~2022년 순환경제 및 일자리 관련 학술연구 425개 중 84가 북반구 지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Circle Economy

구체적으로 지난 27년간(1995~2022년) 순환경제 및 일자리 관련 학술연구 425개 중 84%가 북반구에만 한정돼 있었습니다. 그나마 남반구에 집중한 학술연구 중 상당수는 폐기물이나 지역 내 공급망 내에서의 역할에 한정됐습니다.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중동·북아프리카(MENA) 그리고 동유럽 내 순환경제 일자리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적었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순환경제 활동의 상당수가 남반구에서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가장 적게 진행된다”며 “순환경제 전환과 기후문제 해결을 동시에 촉진하기 위해서는 (남반구에서) 관련 연구가 더 활발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알레트 반 루어 ILO 정책국장 또한 “(순환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연구 및 작업 내 정보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 서아프리카 가나의 수도 아크라 인근에 있는 전자폐기물 수거장의 모습 ©The Basel

“비공식 경제 내 노동자도 포함한 일자리 연구 수행돼야 해” 📝

더불어 보고서는 순환경제 내 일자리 연구가 일자리 창출에만 과도하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고용조건 및 임금 수준 등을 포함한 일자리의 질을 크게 무시했다고 꼬집었습니다.

가령 저소득국가 내 노동자의 73%가 비공식 경제 부문에 포함돼 있으나, 연구 상당수는 공식 및 규제 작업에 종사 중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ILO의 의하면, 비공식 경제 부문 내 일자리는 정부에 보고되지 않은 취업 및 비정형 고용관계를 뜻합니다.

WB와 ILO는 비공식 경제 내 폐기물 작업자 수를 각각 1,500만 명과 2,000만 명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나미타 다타 S4YE 프로그램 관리자는 “(향후에는) 폐기물 관리, 재활용, 수리 및 재사용 등 비공식 경제 내 저품질 저임금 일자리 해결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러한 연구 격차는 순환제품 및 서비스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정책 입안자와 기업의 노력을 방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자료수집 방법론 개선 ▲정책 옹호 활동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서클이코노미 “순환경제 여전히 환경 의제로만 간주돼” 📢

한편, 해티 쿠퍼 서클이코노미 이사는 순환경제가 여전히 환경 의제로만 간주되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쿠퍼 이사는 “순환경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이점은 아직 완전히 수용되지 못한 것 같다”고 토로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순환경제가 전 세계 여러 산업에서 어떻게 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좋은 데이터와 증거를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쿠퍼 이사는 “실무자 및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해 순환경제의 사회경제적 이점에 대한 증거를 만들고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c)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