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말리
자산 2조원 코스피 상장사, 2025년부터 ESG 공시 의무…대한상의 “대기업도 준비 안 돼”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 국내 상장기업들은 2025년부터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당장 대기업들조차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상공회의소가 국내 ESG 공시제도에 대한 기업 의견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종이·대나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보다 친환경? 벨기에 연구진 “독성 화학물질, PFAS 검출”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등 다른 재질로 만든 빨대보다 인체나 환경 모두에게 유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빨대에 사용한 방수 코팅이 원인 중 하나로 꼽혔습니다. 벨기에 앤트워프대학 연구진은 이같은 내용이 담은 논문을 국제학술지 ‘식품첨가물과 오염물질’에 지난 25일(현지시각) 게재했습니다.
2024년 정부예산 ②: 원전생태계·에너지 취약계층 지원 ↑ R&D 예산 대폭 ↓
지난 29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2024년도 예산안’이 의결됐습니다. 예산안은 오는 9월 국회에 제출되고, 이후 국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위 감액·증액 심사를 거쳐 오는 12월 확정되는데요. 그렇다면 기후·에너지·환경 부문 예산은 어떨까요? 그리니엄이 살펴봤습니다.
2024년 정부예산 ①: 녹색산업·물관리 예산 ↑, 기후·자원순환 등 다른 예산 모두 ↓
지난 29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2024년도 예산안’이 의결됐습니다. 예산안은 오는 9월 국회에 제출되고, 이후 국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위 감액·증액 심사를 거쳐 오는 12월 확정되는데요. 그렇다면 기후·에너지·환경 부문 예산은 어떨까요? 그리니엄이 살펴봤습니다.
글로벌 물류 동맥, 파나마 운하 ‘최악 가뭄’으로 통과 선박 수 제한…“엘니뇨로 더 악화 우려”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세계 물류 동맥인 파나마 운하가 유례 없는 가뭄으로 인해 선박 통항에 제한을 겪고 있습니다.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파나마를 포함한 중남미 지역의 가뭄이 더 심각해질 경우 파나마 운항의 선박 통항이 더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탄소중립 위해 ‘풍력 추진 선박’ 개발 바람…美 카길 “선박에 금속돛 장착해 항해 성공”
2050년경까지 국제 해운업계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대체 동력원으로 돛이 떠올랐습니다. 풍력을 에너지로 활용해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고,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줄이겠단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MIT 연구팀 “기후테크 산업 발전 위해선 ‘소프트 기술’ 비용 낮춰야”
태양광, 풍력발전 등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 하기 위해선 ‘소프트 기술(Soft Technology)’ 비용을 낮춰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습니다. 소프트 기술이란 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시설 설치에 필요한 시스템 설계와 공급망 관리 기술 등을 총칭해 말합니다.
2030년까지 세계 자연·생물다양성 복원 위한 ‘글로벌 생물다양성 기본 기금’ 공식 출범
지구촌 생물다양성 회복 및 환경보존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기본 기금(GBFF)’이 출범했습니다. 2030년까지 총 2,000억 달러(약 265조 4,0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할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자금조달이 생각보다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남극 바다서 되려 탄소배출·해빙 소실로 황제펭귄 금세기 준멸종…원인은 ‘기후변화’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흡수하던 남극 바다에서 되려 탄소흡수가 아닌 배출 현상이 발견됐단 연구가 나왔습니다. 또 남극 대표동물인 황제펭귄의 서식지 5곳 중 4곳에서 얼음이 사라져 새끼 펭귄 최대 1만 마리가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단 연구도 발표됐습니다.
인권위, 헌재에 ‘탄소중립기본법’ 위헌 의견 제출…“온실가스 감축목표 ↓, 기후위기 막기 부족”
국가인권원회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과 시행령이 미래세대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의견을 헌법재판소에 제출했습니다. 인권위가 제출한 의견서는 현재 헌재에서 진행 중인 4건의 헌법소원, 즉 기후소송에 대한 의견 표명입니다.
Stay conn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