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에너지·농업 전문가에게 묻다 “기후위기 시대 일어날 한국 사회 변화는?”

“먹거리, 절체절명 위기”

 

▲ 코로나19 대유행 시절이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기획재정부 제1차관을 지낸 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대표는 팬데믹 이후 거시경제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녹색전환연구소

 

 

▲ 세계 주요국의 발전원 시나리오 전망. 김승완 사단법인 넥스트 대표는 각국이 방향성과 속도의 차이는 존재하나 결국에는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승완 사단법인 넥스트 대표 발표 갈무리, 녹색전환연구소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테크, 정책

과기정통부, CCU·AI 기반 기후예측 등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에 올해 862억원 투자

기후·환경, 연구

“2070년 해수면 1m 상승 시 세계 주요 항구 13곳 침수…에너지 위기 올수도”

순환경제, 정책

“한국 핵심광물 재자원화 2%대 그쳐…재활용 기술개발 서둘러야”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