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난 지원 위한 ‘손실과 피해 기금’ 출범…“피해액, 영수증 한 장으로 볼 수 있다면?”

해수면 상승, ㎝ 단위라고 얕볼 수 없어

 

▲ 기후변화 시각화 플랫폼 두번째 바다는 해안도시의 연도별 해수면 상승치와 그로 인한 예상 피해액을 영수증의 형태로 보여준다. ©Second Sea

 

▲ 연구팀을 이끈 영국 왕립예술대학의 아드리안 라후드 건축학과 학장은 온실가스 다배출국이 누적 배출량에 따른 비례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영수증에는 각국의 누적 배출량에 따른 손실과 피해 보상액이 나열됐다. ©Second Sea

 

▲ 2050년 우리나라 인천광역시와 부산광역시 그리고 울산광역시의 예상 해수면 상승치와 그로 인한 피해액을 담은 영수증. ©Second Sea

 

▲ 프로젝트 결과는 포스터와 기후행동 유도 카드 등 오프라인 홍보물로도 제작됐다. ©Second Sea

 

▲ 2019년 11월 이탈리아 수상도시 베네치아는 바다 수위가 187㎝ 이상 치솟아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Stefano Mazzola, Awakening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환경, 연구

미국 LA 초대형 산불 7일째, “기후변화가 산불 키웠다”

기후·환경, 연구

민물 가재 등 세계 담수동물종 24% 멸종위기…생물다양성 보호 시급

기후·환경, 연구

“2070년 해수면 1m 상승 시 세계 주요 항구 13곳 침수…에너지 위기 올수도”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