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한복판에 산호초가 나타났다?”…도시 생물다양성 높이는 ‘어반리프’

어반리프 “생물수용성 향상 위한 구조물 실험 진행 중”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산호초가 도시 한복판에 등장했습니다.

네덜란드 디자인 스튜디오 ‘어반리프(Urban Reef)’가 디자인한 도시 산호초의 이야기입니다.

바닷속 산호초가 조류와 공생 관계를 갖고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처럼 도시에도 다양한 생물들이 살 수 있는 생태계가 필요하단 취지인데요.

바다도 아닌 도시에 산호초가 어떻게 나타날 수 있었을까요?

 

▲ 어반리프는 점토에 커피박 등 네덜란드 지역 내 여러 폐기물을 접목해 도시의 순환성 향상에 기여한다. ©Urban reef

점토와 커피박(커피찌꺼기) 등의 소재를 3D 프린팅으로 쌓아 가마에서 구워낸 구조물인 도시 산호초. 도시 내 물 순환성과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됐습니다.

커피박 외에도 종이펄프, 조개껍데기 등 지역에서 발생한 폐기물들이 도시 산호초 제작에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도시 내 순환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스튜디오 측은 밝혔습니다.

스튜디오는 다공성 소재와 복잡한 모양새의 구조물이 물과 열을 흡수해 미기후를 만들 수 있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미기후란 주변 환경과 다른 국소지역의 특별한 기후나 지표면으로부터 지상 1.5m 이내의 기후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이 구조물이 도시의 열섬 현상 해소에 도움이 된단 것이 스튜디오 측의 설명입니다.

현재 네덜란드 로테르담 주변의 대학과 동물원 등에 20여개의 도시 산호초 프로토타입(시제품)이 배치돼 있습니다.

 

▲ 어반리프의 도시 산호초는 주변 지역의 물과 열을 흡수하고 다양한 생물이 부착해 살 수 있도록 접촉면이 많은 프랙탈 구조로 설계됐다. ©Urban Reef

스튜디오 공동설립자이자 조경 건축가인 피에르 오스캄은 포르투갈에서 도시를 산책하던 중 도시 산호초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고 회상합니다.

오스캄 디자이너는 산책에서 콘크리트 건물을 살펴보면서 현대의 도시에는 자연물이 존재하지만 그마저도 항상 통제된 시스템으로 포함된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그 때문에 생물다양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바다의 산호초처럼 인간의 개입이 닿지 않는 작은 생태계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입니다.

균사체와 곤충, 이끼, 곰팡이가 살 수 있는 터전을 고안했다는 점에서 도시숲과 도시양봉, 재야생화 등 큰 동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프로젝트들과 차별점을 가집니다.

스튜디오 측은 이 구조물이 얇은 지붕이나 시멘트가 깔린 곳처럼 나무를 심을 수 없는 곳에 두도록 설계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점토를 구워 구조물을 만드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만큼 지속가능한 대안을 찾고 있다고 막스 라투르 스튜디오 공동설립자는 밝혔습니다.

 

▲ 어반리프의 레인리프가 만들어지는 모습과 설치 구상도. 우수관의 빗물받이로 설치해 빗물을 모으는 동시에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로 기능한다는 것이 어반리프의 설명이다. ©Urban Reef

스튜디오 측은 2021년 네덜란드 디자인위크(DDW)에서 첫 번째 도시 산호초를 선보였습니다.

물결 모양의 디자인으로 더 많은 빗물을 수집해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는 ‘레인리프(Rain Reef)’입니다.

점토로 만들어진 다공성 소재 덕분에 물을 모을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는 빗물을 먹고 생물이 자랄 수 있습니다.

즉, 우수관의 빗물받이를 대신하는 동시에 다양한 조류와 이끼 등의 서식지가 된단 것.

 

▲ 주리프 표면에 이끼가 자란 모습. 회사 공동설립자인 막스 라투르와 피에르 오스캄은 최근 어반리프의 생물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구조물에 여러 질감을 적용하고 있다. ©Urban Reef

이후 어반리프는 두 번째로 ‘주리프(Zoo Reef)’를 공개했습니다.

레인리프가 물 순환성에 주목했다면 주리프는 보다 더 생물친화적으로 설계됐습니다. 곰팡이부터 곤충, 새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어반리프는 이를 통해 현재 인간 중심의 콘크리트 건물로 가득 찬 도시에 비인간 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최근에는 생물수용성(Bioreceptivity)을 더 높이기 위해 구조물 표면에 여러 질감을 적용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는데요.

표면을 더 울퉁불퉁하게 만들어서 조류 등 더 다양한 생물들이 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스튜디오 측은 설명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순환디자인, 산업

98% 재사용 자재로 만든 중국 가구 전시회 ‘여행하는 창고’

순환디자인, 산업

가죽·섬유 공장 폐수로 염색한 직물, 예술로 독성물질 시각화

순환디자인, 문화

콜롬비아에 등장한 거대 젠가, 생물다양성 대응 시급성 보여줘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