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림·농경지·초지 등 생태계 유형별로 탄소흡수 능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탄소흡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해 관리하기 위한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 평가 고도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겠다고 지난 28일 밝혔습니다.
5년간 총사업비 350억 원이 투입되며,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 연구기관으로 참여합니다.
환경부, 국내 생태환경 부합하는 탄소흡수량 측정 기술개발 📢
탄소흡수량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 생태환경에 맞는 탄소흡수량 고유 계수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에는 총사업비 350억 원 중 133억 원이 배정됐습니다.
가령 관리되지 못한 습지는 IPCC 기준상 ‘탄소배출원’으로 간주됩니다. 농경지 개간이나 폐수 등으로 오염된 습지에서 미생물 오염으로 인해 주요 온실가스인 메탄이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허나, 동식물 생태계가 잘 보존된 습지는 산림보다 높은 주요 흡수원이란 것이 환경부의 설명입니다.
우리나라 내륙습지만 2,704곳. 환경부는 내륙습지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산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국가고유 배출계수 개발 등을 밝힌 바 있습니다. 실제로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습지에 한해 탄소흡수량 평가를 고도화하는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에 필요한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량 측정·평가·검증(MRV) 기술도 개발됩니다. 가령 토양유기물이나 수목 등이 흡수하는 탄소량이 얼마나 되는지 측정한단 것입니다.
더불어 소관 부처별로 관리하는 탄소흡수량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됩니다. 현재 ▲환경부(습지) ▲농림축산식품부(농경지·초지) ▲국토교통부(정주지) ▲산림청(산림) 등 각 부처가 탄소흡수원을 따로 관리 중입니다.
NBS 기반 탄소흡수 증진 기술개발 사업 2024년부터 추진 🦜
한편, 자연기반솔루션(NBS)을 적용한 ‘생태계 유형별 NBS 기반 탄소흡수 증진 기술개발’ 사업도 2024년부터 추진됩니다.
이 사업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유지·증진하면서 탄소흡수 능력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2027년까지 사업이 진행됩니다. 총사업비 350억 원 중 197억 원의 예산이 배정됐습니다.
환경부는 NBS에 대해 “기후·환경오염·자연재해·질병·생물다양성 등의 문제를 생태계 보호·복원·관리를 통해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소영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우리나라가 측정한 탄소흡수량이 국제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조속히 수행하겠다”며 “생물다양성과 탄소흡수 능력이 함께 고려되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과학적인 근거 개발에 힘쓰겠다”고 전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