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지에 버려질 나무 구하기 프로젝트? 美 어반 우드 프로젝트

볼티모어 넘어 美 새크라멘토·뉴욕 확장

3,600여만 그루. 미국 도시 전역에서 연간 사라지는 나무의 숫자입니다. 미 산림청(USFS)에 따르면, 이들 나무 상당수는 산림병해충이나 개발 과정에서 사라집니다.

이 나무들도 적절한 조치만 취해진다면 가구나 종이와 같은 제품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데요. 아쉽게도 이중 상당수는 매립지에 버려지거나, 소각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이 나무들에게도 또다른 기회를 줄 수 없는 걸까요?

이를 위해 미국에서는 ‘어반 우드 프로젝트(Urban Wood Project)’가 진행 중입니다.

 

▲ 2021년 기준 미국 볼티모어에는 약 57만 명이 거주 중이다. 제조업의 하락세와 함께 도시도 같이 낙후되기 시작했다. 사회 양극화로 인한 빈곤 및 인종차별 문제도 있다. 도시 내 1만 6,000개 빈 건축물 중 약 4,000개가 철거 대상으로 분류됐다. ©Baltimore Wood Project

“최대한 많은 나무를 구해 되살리자!” 🌲

USFS의 후원을 받은 이 프로젝트는 2018년 미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먼저 시작됐습니다. 이에 ‘볼티모어 우드 프로젝트(Baltimore Wood Project)’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는데요.

사회적 기업 휴머니엄(Humanium)과 가구 브랜드 ‘룸 앤 보드(Room & Board)’가 서로 협업해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최대한 많은 나무를 구해 되살린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간단합니다. 이를 위해 철거 예정인 건물에서 목재와 함께 폭풍·병해충 등으로 쓰러진 도시 내 가로수를 수거했는데요. 고용장벽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던 이들이 대거 고용됐습니다.

 

▲ 해체 작업 중인 건물에서 목재만 분리하는 작업자들의 모습. 이렇게 수거된 목재는 스튜디오로 옮겨져 가구로 거듭난다. ©Room&Board

이렇게 수거된 나무들은 목공점으로 옮겨져 용도에 맞게 분류됩니다. 이후 가구·목재 합판 등 용도에 맞게 변형돼 판매되는데요. 볼티모어에서만 구한 목재가 2022년 기준 약 18만 보드피트(목재 계량 단위·bf)에 달합니다.

목재가구의 가장 큰 이점은 탄소저장이 가능하단 것입니다. 이산화탄소(CO2)가 목재 안에 저장된 덕분에 제품의 수명 동안 대기 중으로 탄소가 배출되는 것을 늦출 수 있습니다.

비영리기구 ‘새크라멘토 나무 재단(Sacramento Tree Foundation)’에 의하면, 목재로 만든 커피테이블 100개에 사용된 나무는 약 13톤의 탄소를 저장하는 효과를 냅니다. 이는 자동차 2.8대가 1년간 운행하지 않는 것과 맞먹는다고 재단 측은 설명했는데요.

 

▲ 볼티모어 곳곳에서 수거된 목재들이 가구 브랜드 ‘룸 앤 보드’의 목공소로 옮겨진 모습. 이 목재들은 분류 후 적절한 공정을 거쳐 가구나 목재 합판 등으로 재탄생한다. ©Room&Board

‘어반 우드 프로젝트’, 볼티모어 넘어 새크라멘토·뉴욕까지 확장돼! 🗽

프로젝트 덕분에 시 당국은 폐목재 수거 및 폐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가 다른 도시로 확장됐는데요. 어반 우드 프로젝트의 성과가 알려지자, 디트로이트·미니애폴리스·뉴욕시 등 다른 도시들로 프로젝트가 확장됐습니다.

수거된 목재로 가구를 만드는 ‘룸 앤 보드(Room & Board)’의 지속가능성 책임자인 에밀리 맥가비는 미 그린비즈와의 인터뷰에서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도시 내 목재 재사용 및 재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공급망 전체가 연결돼야 한단 뜻인데요.

목재 수거·운반 등 공급업체와 가구 디자이너 그리고 시 당국과의 소통도 중요하다고 그는 밝혔습니다. 특히, 순환 시스템을 만들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인내와 유연성은 필수다”라고 맥가비 책임자는 강조했습니다.

 

▲ ‘어반 우드 프로젝트’는 미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를 시작으로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등 미국 전역으로 확장 중이다. ©Room&Board

미 서부에도 비슷한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새크라멘토 나무 재단이 진행 중인 ‘어반 우드 레스큐(Urban Wood Recue)’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도 마찬가지로 매립지로 보내지는 나무를 수거해 여러 원목 가구를 만들고 있습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기후대응과 지역사회 내 일자리 창출이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것이 특징인데요. 도심 속 목재 구하기 프로젝트가 점차 미국 내에서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그린비즈, 정책

기후 대응 시험대: UN, 2035년 감축목표 제출 기한 9월로 연장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가 지난달 14일(현지시각) 뉴욕주 역사상 최대 규모인 10억 달러를 기후에 투자하는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그린비즈, 정책

뉴욕주 역사상 최대 규모 기후 투자 발표… 10억 달러 이상 투입

기후·환경, 정책

트럼프 파리협약 탈퇴 직후, 브라질 “COP30 의장에 40여년 기후외교관 지명”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