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7 폐막, 국가들은 각기 어떤 성과 도출했을까?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가 당초 폐막일(18일)을 이틀 넘긴 20일(현지시각) 폐막했습니다.

올해 총회에는 198개국 당사국을 포함해 산업계·시민단체(NGO) 등 3만여명이 참석했는데요. 지난해 총회에 이어 올해에는 112개국 정상 및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했습니다.

총회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최대 쟁점으로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기후적응(Adaptation)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 등이 논의됐습니다.

그 결과, 기후변화로 인한 개도국의 손실과 피해 대응을 위한 기금(fund)을 설립하기로 당사국들은 합의했는데요. 당사국들은 또 파리협정 1.5℃ 목표 달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감축, 적응, 손실과 피해, 기후재원, 기후테크, 역량강화 등이 필요하단 것에 모두가 동의했습니다.

COP27에 참여한 국가들은 각기 어떤 성과를 도출했을까요?

 

▲ 17일(현지시각) COP27에서 국제메탄서약을 논의하는 자리에 셰전화 중국기후특사가 방문했다. 이때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는 셰 특사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Troy Shaheen, Clean Air Task Force

1️⃣ 미국 🇺🇸

올해 총회에서 가장 두드러진 외교 성과를 보인 곳은 미국이었습니다. 지난 8월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중단된 중국과의 기후협력COP27을 계기로 재개됐는데요.

국제메탄서약(Global Methane Pledge)을 발표하는 COP27 모임에서 셰전화(解振華) 중국 기후특사가 방문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당시 예정에 없던 방문에 주최 측은 통역사를 급하게 찾았는데요. 중국이 국제메탄서약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미중 양국은 조만간 메탄배출 등을 포함한 기후협력 실무진 회담을 재개할 계획입니다. 이와 별개로 국제메탄서약에 서명한 국가는 150개국으로 늘었습니다.

미국은 또 해양 기반 기후솔루션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및 해양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존 등을 이뤄내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캐나다, 영국, 우리나라와 함께 선박 운항의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인 ‘녹색항로’를 만들기로 했는데요. 녹색항로는 ‘2050년까지 해운업의 탄소중립’을 달성하자는 캠페인이기도 한데요. 우리나라 부산항과 미국 시애틀 타코마항을 우선 연결하는 녹색항로가 개척될 예정입니다.

한편, 미국은 아프리카 기후적응 가속화를 위한 1억 5,000만 달러(약 2,020억원) 규모의 지원 이니셔티브도 발표했습니다. 11일 COP27의 ‘아프리카 적응 행동 촉진’을 위한 특별 세션에서 존 케리 미 기후특사가 발표한 것인데요. 해당 재원은 아프리카 내 조기경보시스템 개발, 기후탄력성 및 적응 프로그램 운영, 식품시스템 등에 지원됩니다.

 

▲ 19일(현지시각) 프란스 팀머만스 EU 집행위 부위원장이 COP27서 기자들과 만나 브리핑을 갖고 있다. 당시 팀머만스 부위원장은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모든 EU 장관들은 떠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Frans Timmermans, 트위터

2️⃣ 유럽연합(EU) 🇪🇺

유럽연합(EU)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기후적응을 위해 10억 유로(약 1조 3,900억원)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프란스 팀머만스 EU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은 “홍수와 가뭄, 폭염 등 기후변화로 피해를 겪고 있는 아프리카를 도울 출발점”이라고 밝혔는데요. 해당 계획에는 프랑스·독일·네덜란드·덴마크 등 4개국이 참여합니다. 10억 유로가 넘는 지원금에는 ‘손실과 피해’ 지원을 위한 기금 6,000만 유로(약 837억원)이 포함됐습니다.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최대 쟁점이었던 ‘손실과 피해’가 기금 설립으로 마무리될 수 있던 배경에는 EU의 노력이 있었단 평가도 나옵니다. 협상이 난항을 겪던 17일, EU가 먼저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을 중재할 제안을 했기 때문인데요.

당시 팀머만스 부위원장은 “나쁜 결정을 내리느니 차라리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을 원한다”며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모든 EU 장관들은 떠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EU의 중재안 덕에 금번 총회에서 손실과 피해 기금 조성 합의 등 성과가 나왔단 분석입니다.

한편, COP27에서 벨기에·아일랜드·오스트리아·독일 등은 4개국은 자체적으로 손실과 피해 기금을 내놓았습니다.

 

▲ 지난 16일(현지시각) COP27 총회를 방문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당선인을 반기기 위해 인파가 몰렸다. 룰라 당선인의 연설을 직접 현장에서 듣기 위해 한 시간이 넘도록 회의장 밖에서 줄을 서서 기다렸던 이들도 있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Ricardo Stuckert

3️⃣ 브라질 🇧🇷

“아마존 열대우림을 복원하겠다.”

COP27을 방문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밝힌 말입니다. 룰라 당선인은 연설에서 “아마존이 보호받지 않은다면 기후안보(climate security)는 없을 것”이라며 삼림 불법벌채 및 채굴 등 범죄를 전부 “유예 없이” 단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19년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취임 이후 아마존 열대우림 벌채 면적은 해마다 늘고 있는데요. 지난해에는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룰라 당선인은 “브라질이 다시 돌아왔다는 것을 천명하고 싶다”고 강조했는데요. 2025년 예정된 COP30(30차 당사국총회)을 아마존에서 개최하고 싶단 뜻도 밝혔습니다.

한편, 브라질은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대우림 보존 협력을 위한 협약 체결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14일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브라질은 인도네시아와 콩고민주공화국과 열대우림 보호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는데요. 3국의 협약은 석유수출기국(OPEC)에 빗대 ‘열대우림 OPEC’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의 열대우림 면적을 합치면 전 세계 숲의 47%에 해당하는데요. 3국은 COP27에서도 열대우림 보존을 위한 협약과 공동 행동을 논의해온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브라질 싱크탱크 소시오앰비엔털(Socioambiental)은 협약을 환영한단 뜻과 함께 “아마존 없이는 파리협정 1.5℃ 달성은 어렵다”고 강조했습니다.

 

▲ 크리스 보웬 호주 기후변화에너지장관이 지난 15일(현지시각) COP27에 참석해 연설하는 모습. 보웬 장관은 연설에서 탈탄소화 가속화를 위해 세계가 더 노력해야 함을 강조했다. ©Chris Bowen, 트위터

4️⃣ 호주 🇦🇺

올해 총회 개막에 앞서 많은 이가 브라질과 호주, 두 국가에 주목했습니다. 브라질과 마찬가지로 호주 역시 선거를 겪었기 때문인데요. 지난 5월 총선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당선됨에 따라 호주의 기후대책 추진 속도에는 탄력이 붙었습니다.

앨버지니 행정부는 호주의 온실가스 감축량 목표를 2030년 말까지 2005년 대비 43% 줄이도록 한 ‘기후변화 법안(Climate Change Bill)’을 통과시켰습니다. 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상향조정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했는데요. 국제기후환경단체 기후행동추적(CAT)은 올해 NDC를 상향해 제출한 국가 중 하나로 호주를 꼽은 바 있습니다.

다만, 앨버지니 총리는 올해 COP27 정상회의에 불참했습니다. 대신 크리스 보웬 기후변화에너지 장관이 COP27에 참석했는데요.

호주는 ‘국제청정에너지공적지원성명(Statement on International Public Support for the Clean Energy Transition)’에 불참한다고 밝혔습니다. 작년 COP26에서 만들어진 이 파트너십은 현재 36개국이 참여했는데요. 탄소저감 장치 없는 해외 화석연료 신규 사업에 공적자금 투자를 올해 연말까지 중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소식에 호주가 화석연료를 포기하지 않고 있단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반면, 호주의 기후목표가 상향됐고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로 한 점 등을 반색하는 분위기도 적지 않았습니다.

한편, 호주는 태평양 도서국들과 함께 2026년 열릴 COP31(31차 당사국총회) 공동 유치에 나선다고 발표했는데요. 호주 기후위원회 소속 웨슬리 모건 박사는 해당 유치가 호주가 화석연료 탈피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16일(현지시각)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COP27 고위급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환경부

5️⃣ 한국 🇰🇷

한편, 우리나라는 나경원 기후환경대사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참석했습니다. 나 특사는 산림의 중요성과 산림재원 확대 필요성을 언급했는데요. 개도국 산림보호를 위한 리프(Leaf) 연합에 한국이 가입하고, 기후대응을 위한 산림재원 확대와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기술과 경험 공유에 동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COP27에 참석해 주요 국가 및 국제기구 대표들과 회담을 갖고 기후환경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개도국 기후적응을 지원하는 적응기금에 3년간(2023~2025년) 연간 12억 원씩, 총 36억원을 적응기금에 공여할 계획입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기후·환경, 정책

해리스-트럼프 첫 美 대선 TV토론, 경제·이민 등 주요 쟁점 불붙어

기후·환경, 정책

“경기둔화·겨울철 온도 상승 영향” 2023년 韓 온실가스 배출량 전년 대비 4.4% 감소

기후·환경, COP, 정책

2030년 기후재원 목표 1조 달러 전망…김효은 前 기후대사 “COP29는 금융 기후총회”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