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Gs 달성 극대화할 비즈니스 동맹, 디자인 포 굿!

그리니엄은 일찍이 순환경제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제품이나 서비스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약 80%는 설계, 즉 디자인 단계에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자원이 순환되기 위해선 설계에서부터 순환이 의도되는 순환디자인이 고려돼야 하는데요.

최근 내로라하는 기관 9곳의 디자이너들이 인류와 지구의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고자 힘을 합쳤단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지난 4월 21일, 세계 창의성과 혁신의 날(WCID)에 맞춰 출범한 디자인 포 굿(Design for Good)의 이야기인데요. 글로벌 비영리 동맹인 디자인 포 굿에는 세계 최대 식품기업 네슬레, 미국 식품 대기업 제네럴 밀스를 포함해 컨설팅 전문 기업 맥킨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민간 부문을 선도하는 기업 8곳과 영국 왕립예술대학(RCA)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디자인 포 굿에 속한 디자이너들은 유엔에서 정한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맞춰 솔루션을 내놓는 것이 목표인데요. 디자인 포 굿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고 싶단 것인지 정리했습니다.

 

© 디자인 포 굿의 2022년 주요 일정_Design for Good, 홈페이지 캡쳐

SDGs 달성 극대화할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비즈니스 동맹, 디자인 포 굿 🎨

디자인 포 굿에 속한 9개 기관의 매출만 약 4,000억 달러(한화 약 482조원) 이상. 직원 수도 약 100만 명에 달할뿐더러, 디자이너만 해도 5,000명에 달하는데요. 디자인 포 굿은 풍부한 자금과 인력을 바탕으로 SDGs 17개 목표에 부합하는 오픈소스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포 굿에 가입한 기관은 자금을 제공하고, 소속 디자이너들은 실현가능한 솔루션(기술)을 개발하는 형태인데요. 각 기관의 디자이너가 모여 약 5일간 제품을 구상하고, 이후 다른 기업 및 시민단체(NGO)와 협력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죠.

디자인 포 굿은 창립연도인 올해는 SDGs 6번 목표인 ‘깨끗한 물과 위생’에 초점을 맞춰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당장 오는 6월부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디자이너를 모으고, 6번 목표와 관련된 주요 데이터와 자료를 기반으로 깨끗한 식수 공급 및 위생 향상을 위한 설계에 나설 계획입니다.

 

© 모두에게 깨끗한 물과 위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SDGs 6번 목표_UN SDGs 제공

이중 SDGs 목표 달성에 가장 큰 기여를 할 것 같은 제품은 프로토타입(시제품)을 만들어 현장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는데요. 각각의 프로토타입은 전문가 패널 평가를 거친 후 실제 생산할 제품을 고를 예정입니다. 현재 홈페이지에 공개된 일정에 의하면, 디자인 포 굿은 최대 4개 제품까지 생산을 고려 중에 있는데요. 해당 프로토타입은 오는 11월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왜 SDGs 1번이 아닌 6번부터 시작했는지 묻는다면 🚿
컨설팅 전문 기업 맥킨지의 파트너이자 디자인 포 굿의 이사인 베네딕트 쉐퍼드는 크게 3가지 이유로 SDGs 6번을 선택했다고 밝혔습니다.

첫째, SDGs 6번 목표는 지난해 11월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목표였는데요. 둘째, 위생 제품의 설계 및 재사용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은 여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단 것!

마지막으로 쉐퍼드 이사는 “모든 대륙에서 긴급하게 필요로 하는 도전”이란 점도 강조했는데요. 유엔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인구의 약 26%인 20억 명은 깨끗한 식수에 접근할 수 없고 46%인 36억 명은 안전한 위생시설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 영국 왕립예술대학 다이슨 건물의 인쇄소에서 일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_Richard Haughton

디자인 솔루션, 홈페이지에서 오픈소스로 무료 공개될 예정 💭

디자인 포 굿 내로라하는 비즈니스 업계와 학계가 연합한단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간 디자이너들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손실 등을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씨름해오긴 했으나, 디자인 포 굿과 같은 연합 형태로 해결책을 탐구하려 했던 적은 전례가 없는데요.

무엇보다 이들이 매년 내놓을 디자인 솔루션은 홈페이지에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현재 디자인 포 굿 홈페이지에는 각 조직에서 참여할 디자이너들의 명단이 일부 공개돼 있습니다. 공개된 이들의 경력을 살펴보면, 일찌감치 디자인을 통해 환경 및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 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이들의 경력을 잠깐 들여다본다면.

  • 네슬레 👩‍🎨: 소속 디자이너로 참여한 시메나 오라일리의 경우 지속가능한 패키지 소재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오랫동안 진행했는데요. 2013년 네슬레에 합류한 이후 브랜드 디자인 전략 전반을 이끌고 있다고.
  • 필립스 💊: 헬스케어 전문 기업 필립스의 숀 카니 최고 디자인 책임자(CDO)는 사람과 혁신 중심의 열린 디자인을 강조하며 ‘iF 디자인 어워드’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등 세계적인 디자인 공모전에서 연이어 수상한 경험이 있는데요. 디자인 포 굿에서도 마찬가지로 열린 디자인을 강조할 것이라고.
  • 로지텍 👨‍💻: 스위스 컴퓨터 소프웨어 제작사 로지텍의 디자이너이자 디자인 포 굿의 CDO인 알라스테어 커티스는 “기후변화, 빈곤, 물과 위생, 불평등 등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환경 및 사회적 문제의 규모를 해결하려면 거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는데요. 그는 이어 “디자이너의 역할은 인류의 삶의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며, (디자인 포 굿은) 일생일대의 기회”라고 덧붙였습니다.

 

© 영국 왕립예술대학교 디자인 전시 모습_RCA, 페이스북

디자인 포 굿에 참여한 9개 기관 중 한 곳은 영국 왕립예술대학교(RCA)입니다. RCA는 세계적으로 유명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곳으로 잘 알려졌는데요. RCA는 기업과 민간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디자인을 통해 협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디자인 포 굿에 참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폴 앤더슨 RCA 교수는 광범위한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을 고안하기 위해선 디자인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닉 드 레온 RCA 교육 및 지식 교류 책임자 또한 “디자인 포 굿이 산업계와 학계의 가장 창의적인 사람들을 한자리에 모을 수 있다”며 “세계에 닥친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구상하기 위해선 (디자이너들이) 특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역설했죠.

 

+ 물론 이런 점은 지켜봐야 해요 🤔
미국 경제 전문지 패스트컴퍼니는 디자인 포 굿에 소속된 일부 회사는 환경 관련 실적이 좋지 않은 점을 지적했는데요. 패스트컴퍼니는 “(디자인 포 굿에 소속된) 펩시와 네슬레는 세계 최고의 플라스틱 오염기업이란 비판을 자주 받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패스트컴퍼니는 이들 기업이 디자인 재능과 함께 세계적으로 소비자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덧붙였는데요. 디자인 포 굿이 앞으로 인류와 지구를 위해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면밀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그린비즈, 정책

EU 집행위, 오는 12월 시행될 ‘삼림벌채규정’ 1년 연기 제안

그린비즈, 경제

삼일PwC, 탄소중립 2.0 시대 대두…에너지 전략 대전환 필요

기후테크, 경제

2024년 유니콘 기업 83곳 등극…‘기후테크 AI’ 유니콘 등장 가능할까?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