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10일 서울 여의도에서 중소벤처 탄소중립 미래전략 설계를 위한 자문단 위촉식과 라운드테이블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자문단은 국제 탄소규제 강화에 맞춰 한국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중기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구성됐습니다. 연말까지 라운드테이블 방식으로 집중 운영될 계획입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탄소중립 분야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 13명에 대한 위촉장이 수여됐습니다. 이후 분과별 운영계획 발표와 자문단 의견 청취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VCM 활성화·기후테크 육성 분과 운영…중소기업 지원 ⚖️
중기부에 따르면, 분과는 크게 ‘자발적 탄소시장(VCM) 활성화’와 ‘기후테크 육성’ 2개로 나누어 운영됩니다.
이는 중기부가 추진 중인 ‘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법’과도 연계돼 있습니다.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도록 VCM과 연계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참여형 자발적 탄소감축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국제기준에 맞는 감축사업 인증표준과 거래 가이드라인이 제시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민간 인증 기반 탄소시장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일 방침입니다.
중소기업의 자발적 탄소감축 지원 근거 등을 담은 법안을 연내 도출한다는 것이 중기부의 구상입니다.
신성장동력인 기후테크 벤처 및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도 추진됩니다.
대규모 연구개발(R&D) 기획과 펀드 운용, 규제자유특구 등을 활용한 기후테크 기술·제품의 실증 확대와 규제 해소도 추진합니다. 해당 분과는 기후테크 기업의 해외 진출과 공적개발원조(ODA) 연계방안도 논의합니다.
중기부 분야별 정책 발표는 내년 1~2월로 예정돼 있습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은 반드시 실현해야 할 과제”라며 “라운드테이블 운영을 통해 만들어질 중소벤처 탄소중립 미래전략은 중소기업이 새로운 규범과 환경에 대응하고 세계 시장으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