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공원이나 산림 등 녹색기반시설(그린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결과, 고령인구의 기후대응 취약성이 높아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의 김승겸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동남아시아 인구 고령화와 녹지 동태’ 연구 결과를 9일 발표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지난달 29일(이하 현지시각)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변화’에도 발표됐습니다.
연구팀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10개국 내 2만 6,885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인구 고령화와 그린인프라 변화 패턴의 시공간적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연구에는 인공위성 등을 활용한 원격데이터 수집·분석, 일명 ‘리모트센싱’ 기술이 사용됐습니다.
“고령화 높은 도시일수록 그린인프라 감소”…지역 우선순위서 밀려 💰
연구팀은 연구 대상 지역에서 20년간의 인구 고령화와 그린인프라 변화 추이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고령인구 증가가 그린인프라 공급 감소로 이어진단 공통된 사실을 10개국 모두에서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고령인구 집중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녹지 같은 그린인프라 감소가 더 두드러졌다”고 강조했습니다.
특정 지역의 인구 고령화가 세수 감소와 지방재정 악화로 이어지면서 그린인프라 투자 등 기후대응 정책이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경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고령화가 심할 지역일수록 지방정부가 젊은층을 유지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이나 산업단지 조성 나아가 주거 여건 개선 같은 다른 도시 인프라 투자를 우선한단 것.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기후취약성은 더 높아지는 악순환로 이어진단 것이 연구팀의 설명입니다.
다만, 해수면 상승 등 이상기후에 취약한 해안도시의 경우 그린인프라 감소 현상이 보이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습니다.
이들 해안도시는 그린인프라 투자를 비롯한 기후대응 정책이 도시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고령화·저출생 등 인구 환경 따른 지역맞춤형 기후대응 전략 필요 🗺️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고령화·저출생 현상에 맞는 지역맞춤형 기후대응 전략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도시의 기후적응 전략 수립에서 사회인구학적 변화와 지리 공간적 격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단 것이 연구팀의 말입니다.
연구팀은 그린인프라의 존재가 기후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그래프로 도출했습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의 ‘기후취약성 프레임워크’에 따라 ▲노출 ▲민감성 ▲적응 능력 등을 나타내는 변수를 활용했습니다.
폭풍·가뭄 같은 주요 노출 변수, 해안근접성·저지대는 민감도 변수입니다. 이 두 변수는 그린인프라 증가와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녹지 공간 등 그린인프라가 늘어날수록 폭풍·가뭄 같은 이상기후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쉽단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그린인프라가 기후적응을 위한 대표 전략으로써 (기후)민감도를 줄인다”며 “동시에 적응 능력을 향상시켜 물리적·사회경제적 회복력 측면을 보완한단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 저출산, 고령화 등 복합적 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김지수 박사과정은 “사회·경제·환경을 융합해 본 연구를 통해 시급한 사회 문제에 대해 실제적이고 최적화된 해결책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