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억 달러(약 42조원).
2023년 기후테크 기업들이 투자받은 금액을 모두 합친 액수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30% 감소한 것입니다.
전 세계 기후테크 부문 벤처캐피털(VC) 투자 흐름을 추적하는 미국 클라이밋테크 VC(이하 CTVC)*가 이같은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각)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2023년 공식문서나 보도자료 등 공개적으로 발표된 VC와 사모펀드 거래만 집계한 것입니다.
CTVC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고금리로 인해 민간 투자 시장이 더 신중해졌다”며 “프로젝트가 취소되고, 투자가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이기지 못한 기업들이 문을 닫는 사례가 이어졌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2024년 금리 인하가 예상될뿐더러 주요국의 성장동력으로 기후테크가 떠오른 점 등은 낙관적이라고 CTVC는 설명했습니다.
이에 CTVC는 “2024년은 기후테크가 실험실에서 벗어나 대규모 배포가 계속될지 판단하는 중요한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에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그리니엄이 살펴봤습니다.
[편집자주]
*작년 10월 사이트라인 클라이밋(Sightline Climate)으로 사명 변경. 현재 CTVC와 공용표기.
2023년 기후테크 산업 투자 전년 대비 30% 감소…“거래 건수도 줄어” 📉
CTVC에 따르면, 지난 4년간(2020~2023년) 기후테크 기업이 받은 누적 투자금만 1,420억 달러(약 186조원)에 달합니다.
투자액이 가장 많았던 해는 2022년으로 455억 달러(약 59조원)에 달했습니다. 이어 2021년이 446억 달러(약 58조원)로 뒤를 이었습니다.
2023년 투자금은 321억 달러로 전년 대비 30% 감소했습니다.
반면, 같은기간 투자의 연평균성장률(CAGR)은 23%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CTVC는 “2022년 말 CAGR이 32%였던 것과 비교하면 둔화됐다”면서도 “유사한 부문에 비해선 여전히 높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분기 중 가장 많은 투자금이 모인 시점은 3분기(Q3)로 125억 달러(약 16조원)가 투자됐습니다.
작년 9월 스웨덴 녹색철강 스타트업 H2그린스틸(H2GS)가 15억 유로(약 2조원) 상당의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덕분입니다.
가장 적은 투자금이 모인 시점은 4분기(Q4)로 57억 달러(약 7조원)에 그쳤습니다.
한편, 2023년 기후테크 산업 내 전체 거래 건수는 1,250건이었습니다. 전체 투자 거래 건수도 전년 대비 3% 줄어든 것입니다.
거래 건수가 줄어든 것은 2020년 이후 처음입니다.
“시리즈 A 투자서 41% 감소…가장 큰 하락세” 🤔
또 기후테크 스타트업 성장 단계별로도 투자액이나 거래 건수 모두 차이를 보였습니다.
스타트업은 성장 과정에 따라 투자 단계를 크게 ▲시드(창업 극초기) ▲시리즈 A ▲시리즈 B ▲시리즈 C ▲시리즈 D 등으로 구분합니다.
① 시드|🔺투자 규모 7% 🔺거래 건수 12%
지난해 창업 극초기인 시드 단계 스타트업 내 투자는 7%를 기록했습니다. 투자금이 증가하긴 했으나 전년도 26% 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거래 건수는 12% 증가한 532건을 기록했습니다.
② 시리즈 A|🔻투자 규모 41% 🔻거래 건수 11%
반면, 시리즈 A 투자는 41% 감소했습니다. 거래 건수도 전년 대비 11% 감소한 305건을 기록했습니다.
③ 시리즈 B|🔻투자 규모 27% 🔻거래 건수 16%
시리즈 B 투자는 27% 줄었습니다. 거래 건수의 경우 전년 대비 16% 감소한 141건으로 집계됐습니다.
④ 시리즈 C|🔻투자 규모 35% 🔻거래 건수 34%
시리즈 C 투자는 27% 감소했습니다. 거래 건수는 전년 대비 34% 줄어든 51건을 기록했습니다.
⑤ 성장펀드|🔻투자 규모 37% 🔻거래 건수 28%
성장펀드 내 투자는 37% 감소한 112억 달러(약 14조 7,000억원)로 집계됐습니다. 거래 건수도 전년보다 28% 줄어든 79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성장펀드의 경우 전체 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9%로 줄었습니다. 직전년도에 50%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됩니다.
+ 투자 단계도 투자자 유형별로 제각각 🤔
초기 라운드의 경우 로워카본캐피털(26개)과 클라이밋캐피털(23개) 같은 초기 VC들의 투자가 두드러졌습니다. 반면, 후기 라운드의 경우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9개)나 마이크로소프트(MS) 산하 기후혁신기금(8개)의 투자가 높았습니다.
기업의 경우 후기 라운드나 성장 단계에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4개)이 대표적입니다. 우리나라 SK벤처스 또한 지난해 기후테크 산업 내 최대 규모 거래에 적극 참여했다고 CTVC는 덧붙였습니다.
2023년 고금리·공급망 비용 증가 여파로 프로젝트 취소 잇따라 💼
CTVC는 “공공시장 둔화로 인해 후기 단계 스타트업의 투자가 냉각됐다”며 “지난해 금리 상승과 공급망 내 비용 증가로 후기 단계 기업들의 프로젝트 취소가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기관은 그 예로 라이사이클과 뉴스케일파워 사례를 언급했습니다.
작년 10월 캐나다 기업인 라이사이클은 비용 상승으로 인해 미국 뉴욕주에 건설하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설 작업 일시 중단했습니다.
이 기업은 2021년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니켈의 안정적 수급을 위해 6,270만 달러(당시 한화 600억원)를 투자해 지분 2.7%를 확보한 곳입니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내 첫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으로 주목받은 기업입니다.
이 기업은 2029년까지 미 중서부에 SMR 6기를 배치하려고 했습니다. 허나, 공급망 대란과 원자재 가격 상승의 여파로 작년 11월 해당 사업을 결국 종료했습니다.
기후테크 투자 빅3 업종서 변화 관측…“산업 강세, 식품·토지사용 하향세” 💸
그렇다면 업종별로는 어땠을까요? CTVC는 기후테크 산업을 크게 7개 업종으로 나눠 투자금과 거래 건수를 집계합니다.
①운송 ②에너지 ③식품·토지사용 ④산업 ⑤기후관리 ⑥건축·환경 ⑦카본 등입니다.
보통 기후테크 산업 내에서도 빅3 업종(운송, 에너지, 식품·토지사용)에 자본이 쏠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 운송|107억 달러 투자…주목해야 할 TOP3 거래는?
주요 업종 중에서 투자액 면에서 선두를 차지한 곳은 운송입니다. 전기자동차와 배터리 기업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운송 업종은 작년에 총 107억 달러(약 14조원)를 투자받았습니다. 이중 절반인 54억 달러(약 7조원)이 지난해 3분기에 투자됐습니다. 단, 업종 내 전체 투자금은 전년 대비 26% 줄었습니다.
CTVC는 운송 업종에서는 노스볼트(12억 달러)와 레드우드머터리얼즈(10억 달러), 베르코어(9억 달러) 등의 거래에 주목했습니다. 레드우드머터리얼즈와 베르코어는 대표적인 배터리 재활용 기업입니다.
여기에서 CTVC는 기후테크 산업 내 투자 격차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잠재성이 더 높은 기술에 투자가 몰려야 한단 뜻입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 세계 총배출량에서 운송은 15%를 차지합니다. 허나, 지난 4년간(2020~2023년) 전체 기후테크 산업 투자금의 37%가 운송에 몰렸습니다.
⚡ 에너지|77억 달러 투자…수소·ESS 투자 활발
에너지 업종은 운송 다음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에너지 업종 내 투자금은 총 77억 달러(약 10조원)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34% 줄어든 금액입니다. 투자자 수만 놓고 보면 운송 등 다른 업종을 모두 제치고 1위를 차지했습니다.
에너지 업종의 경우 수소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투자가 활발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 식품·토지사용|전년 대비 55% 투자 감소…1억 달러 이상 투자 거래 0건
반면, 지난해 식품·토지사용 업종은 2022년보다 55% 감소한 30억 달러(약 4조원)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1억 달러(약 1,300억원) 이상의 투자 거래 건수가 아예 0건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2년 6건과 비교한 것과 비교됩니다. CTVC는 “투자자 또는 소비자 모두가 대체단백질에 취향을 잃은 것처럼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이같은 투자 추세가 계속되면 이르면 올해에는 빅3 업종에서 식품·토지사용이 밀려난단 것이 CTVC의 분석입니다.
단, 자연 복원이나 축산업 내 기후대응 산업이 올해 견인력을 받을 수 있단 전망도 달렸습니다.
🏭 산업|탈탄소화 자금 몰려…식품·토지사용 누르고 빅3 올라가나?
같은기간 산업 업종이 55억 달러(약 7조원)를 투자받으며 산업 내 3위로 뛰어올랐습니다.
여기서 산업은 시멘트·철강·화학 등 탈탄소화가 어려운 산업군을 말합니다. 섬유와 플라스틱 등 순환경제 전반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CTVC는 “산업 내 탈탄소화는 자본이 많이 들뿐더러 혁신 속도가 느려 탄소중립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그러나 2023년에 산업 업종 내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긍정적인 움직임이 관측됐다”고 평가했습니다.
💨 카본|전체 투자금서 3% 차지
탄소회계와 탄소제거, CCS(탄소포집·저장) 등을 모두 포함한 업종입니다. CTVC에 따르면, 지난해 카본 업종으로는 12억 달러(약 1조 5,700억원)이 몰렸습니다. 전년 대비 50% 줄어든 것입니다. 식품·토지사용 업종 다음으로 가장 큰 하락폭입니다.
CTVC는 “카본은 자금조달보다는 언론의 ‘헤드라인’에 장식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전체 산업 내 투자는 3%였고 이중 상당수는 탄소제거나 탄소시장에 사용됐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산업을 제외한 6개 업종 모두에서 투자 규모가 평균 34% 줄었습니다.
[2024년 기후테크 전망 모아보기]
① 2023년 기후테크 투자 전년 대비 30% 감소…빅3 업종서 변화 관측
② 2023년 기후테크 전체 투자 중 24%, 상위 10개 거래서 발생
③ 기후테크 전문 투자사·기업인 등 15人이 전망한 2024년 기후테크 미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