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 “기후테크 산업 발전 위한 1,000억원 규모 ‘녹색벤처기업 특례보증’ 실시”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이 기후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 원 규모의 ‘녹색벤처기업 특례보증’을 실시한다고 지난 4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4월 금융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혁신 벤처·스타트업 자금지원 및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른 조치입니다.

신보는 기업의 온실가스 저감기술 및 기후적응 사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도움으로써 기후테크 산업을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신보 “기후테크 산업 육성 위한 마중물 될 것” 💰

지원대상은 ▲기후테크 분야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기술을 보유 중인 벤처인증기업 ▲기후테크 혁신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를 추진 중인 벤처인증기업입니다.

신보는 기업당 최대 4억 원 한도 내에서 운전자금을 지원합니다. 이와 함께 ▲보증비율 우대(90~100%) ▲최대 0.4%p(퍼센트포인트) 보증료율 차감 등을 통해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할 예정입니다.

신보 관계자는 “이번 특례보증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핵심 성장동력인 기후테크 산업 육성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신보는 이전에도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한 바 있습니다. 2021년 재생에너지 기업을 위한 ‘녹색보증’, 2022년 탄소중립 추진 기업을 위한 ‘녹색 공정전환보증’ 등이 대표적입니다.

그 결과, 지난해 말까지 두 정책을 통한 누적 보증금액은 각각 3,591억 원과 5,430억 원이었다고 신보는 밝혔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그린비즈, 스타트업

아프리카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5,500만 달러 투자…이퀘이터의 전략은?

그린비즈, 스타트업

SAF 개발사 Twelve, 1,200억원 추가 투자 유치…탄소변환 기술 상용화 가속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1차 에너지기술개발 사업으로 787억 원을 투자해 무탄소에너지 기술, AI 기반 전력 효율화, 기후테크 기업 육성을 추진합니다. 재생에너지·원자력·수소 기술 개발, AI 활용 전력 수요관리, 산업 AI 및 인재 양성을 통해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정성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그린비즈, 정책

산업부, 에너지기술개발에 787억원 투자… 탄소중립·에너지 안정성 강화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