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지도로 살펴본 국가별 그린수소 생산가격…2050년 한국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로 수소가 떠올랐습니다. 철강·항공·선박 등 전력화가 어려운 업계가 수소 개발 및 활용에 아낌없이 투자 중인데요. 청정수소의 끝판왕으로 분류되는 그린수소는 여러 수소 중 생산단가가 가장 비싸기로 유명합니다.

이에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연구개발(R&D)이 박차를 가하는 상황. 그렇다면 미래 그린수소를 가장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국가는 어디일까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서 발간한 ‘그린수소 비용 및 잠재력(Green Hydrogen Cost and Potential)’이란 보고서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RENA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과 2050년에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미래 비용과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해당 요소들을 반영해 그린수소 kg당 생산단가를 국가 및 지역별로 시각화해 제공합니다.

 

© ‘물 스트레스(물부족도 측정지표)’를 고려한 2050년 지역별 그린수소 생산단가 시각화. 빨간색은 그린수소 kg당 생산단가가 0.6달러로 가장 저렴하단 뜻이다_IRENA, 보고서 캡처

IRENA, 파리협정 1.5°C 유지 위해선 그린수소 필수적 🌡️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 1.5°C 이내 유지’라는 파리협정을 달성하기 위해선 그린수소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IRENA는 강조합니다. IRENA는 이를 위해 현재 높은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낮춰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전해조* 제조비, ▲운영비 등으로 인해 높은 생산단가를 자랑하는데요. 여기에 수전해**를 위한 물 수급도 생산단가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IRENA는 미래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선 해당 요소들의 비용을 낮춰야 함을 강조합니다.

더불어 규모의 경제, 공급망 및 기술혁신 등을 통해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고 IRENA는 덧붙였습니다.

IRENA는 낙관·비관 시나리오로 나눠서 미래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예측했습니다. 낙관 시나리오에서는 세계 태양광 발전이 14TW(테라와트), 육상풍력 6TW, 수전해 4~5TW 배치가 예상됐는데요. 이 시나리오의 경우 2050년 국가 상당수의 그린수소 생산단가는 kg당 1달러 미만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비관 시나리오의 경우 같은기간 그린수소 생산단가가 kg당 1.5달러 미만의 비용에 접근했습니다. IRENA는 이 시나리오의 경우 재생에너지 및 전해조 설치비용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로 전제했습니다.

*전해조: 물(H2O)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며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핵심 설비로 수전해기술이 적용된다

**수전해기술: 물을 전기분해하여 분리막으로 이온을 이동시킴으로써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기술.

 

©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전력화가 어려운 철강업계에서 수소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_IRENA, 홈페이지 캡처

지역별 그린수소 생산단가 낮은 국가는? 🌍

IRENA는 2030년과 2050년의 수소 수요를 고려해 지역별 그린수소 생산단가(Levelised cost of green hydrogen, 이하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도출했습니다.

이를 위해 IRENA는 전 세계 토지를 1㎢로 나누고, 재생에너지와 수전해·전해조 용량을 조합해 추정했습니다.

토지의 경우 경작지, 국립공원, 습지, 도시, 산악지형 등을 제외한 가용성 토지만 고려했는데요. 수소 수요처로 운송하는 부문을 제외한 생산 부문으로만 한정했습니다.

 

©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등으로 본 국가별 수소 생산 적합 에너지 분류. 독일이 다른 나라보다 육상풍력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더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_IRENA, 보고서 캡처

1️⃣ 재생에너지: 태양광보단 풍력발전이 그린수소 생산단가↓ 💨

그린수소 생산에 적합하기 위해선 재생에너지 발전에 유리한 지형이어야 합니다. IRENA는 보고서에서 재생에너지를 크게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으로 구분해 분석했는데요.

그 결과, 태양광 발전보다는 풍력 발전이 변동성이 낮아 그린수소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일은 태양광 발전보다는 육상풍력 발전을 활용한 것이 그린수소 생산에 유리하다고 IRENA는 밝혔습니다.

반면, IRENA는 호주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광활한 영토와 풍부한 태양에너지로 태양광 발전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분석했습니다.

 

© ‘물 스트레스(물부족도 측정지표)’를 고려한 국가별 그린수소 생산 토지적합성 그래프. 해당 지표를 고려할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의 그린수소 생산 토지 부적합성이 94%까지 상승한다_IRENA, 보고서 캡처

2️⃣ 물 스트레스: 물 부족할 경우 그린수소 생산 토지 부적합성↑ 💧

IRENA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선 재생에너지와 함께 물 수급이 원활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재생에너지에서 얻은 전력을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얻은 것이 그린수소이기 때문인데요.

이 때문에 호주 남서부 건조지대, 중국 북부는 재생에너지가 풍부하나 물 수급이 어려워 그린수소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고 IRENA는 평가했습니다.

앞서 본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재생에너지는 풍부하나, 물 부족으로 인해 그린수소 생산 토지 부적합성이 최대 94%까지 상승했습니다. 이 경우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는 kg당 2달러로 추정됐습니다.

 

© IRENA는 그린수소 생산 및 소비에 최적화된 국가로 중국, 인도, 미국 등 세 국가를 꼽았다_greenium

IRENA는 그린수소 생산 및 소비에 있어 가장 최적화된 국가로 중국, 인도, 미국을 꼽았습니다.

이들 국가는 태양광, 태양열 등 태양에너지가 풍부해 그린수소의 원활한 생산이 가능한데요. IRENA는 이들 국가에서 생산된 그린수소가 kg당 0.65~0.78달러 수준에서 생산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갖췄다고 평가했습니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서유럽 국가에서의 그린수소 생산단가는 kg당 0.8~1.1달러로 분석됐습니다. 영국의 경우 흐린 날씨 탓에 태양에너지가 충분치 않아 그린수소 생산단가가 유럽 평균보다 높은 kg당 1~2달러였습니다.

IRENA는 도시화로 가용성 토지가 낮은 국가별로 그린수소 생산단가가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2050년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로 그린수소 생산단가가 급격히 낮아질 것으로 IRENA는 전망했습니다. 여기에 그린수소 기술혁신 및 공급망 최적화 등으로 생산단가가 낮춰질 수 있는데요.

IRENA는 일부 최적입지의 경우 그린수소 kg당 생산단가가 최저 0.65달러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2050년 국가별 그린수소 생산단가 비교 그래프. 비관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는 그린수소 kg당 4달러 이상의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_IRENA, 보고서 캡처

2030·2050년 한국, 일본 그린수소 생산비용 여전히 높아 🇰🇷🇯🇵

IRENA는 보고서에서 향후 미래 수요에 비해 그린수소를 충분히 생산하지 못할 국가로 우리나라와 일본을 꼽았습니다.

IRENA는 두 국가의 그린수소 생산단가가 높단 점을 언급했는데요. 우리나라와 일본은 각각 국토의 87%와 91%가 그린수소 생산에 부합하지 않은 지형으로 분석됐습니다.

실제로 IRENA의 홈페이지를 통해 미래 국내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물 스트레스(물부족도 측정지표)’까지 고려하면, 2030년 우리나라 서남해안 일부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는 kg당 4달러로 높은 생산단가로 분석됐습니다. 제주도 동부에서는 kg당 2달러 정도로 그린수소 생산이 가능한데요.

 

© 2030년 ‘물 스트레스(물부족도 측정지표)’ 지표를 고려한 국내 그린수소 생산단가 시각화. 서남해안 일대에서 생산된 그린수소 생산단가는 kg당 4달러(보라색)임을 확인할 수 있다_IRENA, 홈페이지 캡처

이외 국토 상당수가 도시 및 산악지형, 물부족 등으로 인해 그린수소에 적합하지 않은 흰색으로 시각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50년 우리나라 국내 그린수소 생산단가는 kg당 3~4.1달러 정도. 이는 같은기간 중국 0.7달러, 일본 2.4달러와 비교해 높은 생산단가인데요. 이 때문에 가격 면에서 우리나라는 그린수소 생산에 매우 불리할 수밖에 없단 평가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들이 아직까지는 미래의 그린수소 생산까지 고려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30년 전체 발전량 중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로 설정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행계획이 설정한 20%는 95% 이상을 태양광 및 풍력발전이 공급하는 것이 핵심인데요.

IRENA는 보고서에서 2030년 우리나라 그린수소 국내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선 재생에너지의 3분의 1 이상이 생산에 투입돼야 한다고 전망했습니다. 아쉽게도 현재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들은 발전원의 다양화, 전력수요를 충족을 위한 정책들이라 국내 재생에너지들이 향후 그린수소 생산에 연계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그린수소보다는 블루수소나 원자력 기반으로 생산한 옐로수소(Yellow Hydrogen)가 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실제로 유럽연합(EU)의 경우 100% 원전으로 생산한 수소도 또한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쓰기

관련 기사

그린비즈

EU,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50억 유로 투자 발표

대한상의SGI

그린비즈, 정책

EU 집행위, CBAM 탄소세 부과 1년 연기에 소기업 면제 검토

그린비즈, 산업

산업계 82.7%, 2035 NDC서 감축 수준 유지 요구…“전환리스크에 기업 부담 가중”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