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장은 “한국 정치가 기후유권자들의 정치적 요구를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기후정치바람은 전국 광역시도를 67개 권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21개 기후선거구를 도출했다 ©그리니엄

 

 

 

▲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에 있어서 경기도는 반대하는 반면 인천광역시는 찬성하는 응답이 높았다 ©그리니엄

 

 

 

▲ 충남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계획에 대한 인지도가 전국 다른 곳보다 높았다 ©그리니엄

 

 

 

 

▲ 전남은 전체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가장 기후유권자가 많은 곳으로 나타났다 ©그리니엄

광주에서는 광산구가 기후선거구였습니다. 이곳은 총선 후보 공약 중 관심 분야가 ‘기후대응’이라고 답한 비율이 45%로 다른 광주 지역보다 높았습니다.

다만, 탄소중립 정책으로 지역사회 변화를 체감하고 있냐는 질문에 ‘그렇지 못하다’는 응답이 78.9%로 광주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광주 전체 응답도 75.1%에 이르렀습니다.

시민들의 기후위기 민감도나 적극성은 높은 편이나,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은 유권자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있단 뜻입니다.

 

 

 

▲ 주요 산업단지가 밀접한 울산광역시 등에서는 기후대응 정책이 지역산업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응답이 높았다 ©그리니엄

 

 

 

 

 

▲ 강원도는 주요 기후재난서 산불 관련 경험이 많았고 제주도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에서도 기후위기에 따른 직접적 영향력을 실감했단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그리니엄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