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2027년까지 5조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친환경 선박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또 해양의 탄소흡수·저장을 확대하고 신(新) 탄소감축원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해수부는 2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통과해 확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계획은 향후 5년간(2023~2027년) 해양수산 분야 핵심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투자의 정책목표와 중장기 중점기술 개발 전략을 제시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입니다.

이번 계획을 통해 해수부는 친환경·자율운항 선박 등 미래 해양수산 산업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선다는 목표입니다.

‘해양수산 과학기술 대전환을 통한 블루이코노미 구축’이란 비전 아래 10대 국가 해양수산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4대 전략과 12대 과제를 추진한다고 해수부는 밝혔습니다.

 

해수부 “2030년까지 친환경 선박 15%↑·블루카본 단계적 확충” 🐋

먼저 정부는 해운산업을 저탄소에서 무탄소 선박 및 항만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2020년 기준 1%에 머물고 있는 친환경 선박 전환율을 오는 2030년까지 15%로 확대합니다. 이에 필요한 관련 기자재와 기반시설(인프라)도 순차적으로 확충합니다.

해수부는 일단 올해 1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후선박 7척 이상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해양의 탄소흡수·저장을 확대하고 신(新) 탄소감축원도 발굴할 계획입니다. 해수부는 해양생태계 등을 통해 온실가스 55만 톤 이상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충남 태안군 갯벌의 모습 갯벌은 온실가스 저감수단인 블루카본의 보고로 부상 중이다 ©충청남도

이는 지난해 9월 해수부가 내놓은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에 보다 세부적인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해당 계획에 따르면, 해수부는 갯벌이나 바다숲에 흡수·저장되는 온실가스인 ‘블루카본(blue carbon)’을 단계적으로 확충한단 계획입니다.

구체적으로 갯벌 염생식물 군락은 2030년까지 105㎢을 복원, 바다숲은 2030년까지 540㎢을 조성합니다. 해수부는 또 국제 공인 해양흡수원의 확대를 위해 갯벌 등 잠재 후보군의 흡수량 산정체계를 구축할 방침입니다. 또 국제사회 내 블루카본 확대 공감대 형성에 노력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 연안습지 탄소흡수량? 국가 온실가스 통계에 이미 반영됐어! 🌊
지난해 11월 해수부는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연안습지의 탄소흡수량을 국가 온실가스 통계에 공식 반영했다고 밝혔습니다. 국가통계에 블루카본을 반영하고 발표한 사례는 미국, 호주에 이어 우리나라가 세계 3번째입니다. 국가 통계에는 2020년 기준 연안습지의 탄소흡수량 1만 1,000톤이 반영됐습니다.

 

“북극 종합관측망·남극 3개 연구거점 구축 통해 기후 데이터 확보할 것” 🚢

한편, 해수부는 친환경 해양에너지 생산량 확대를 위해 이미 확보된 기반 기술을 실제 해역에서 실증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자료 확보를 위해 북극 종합관측망 및 남극대륙 3대 연구거점을 2027년까지 구축해 극지 연구인프라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해양광물 및 생명자원 탐사를 극지까지 확대해 신규 자원을 확보할 것이라고 해수부는 밝혔습니다.

해수부는 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해양수산과학기술 분야 창업 기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핵심 기자재 국가 산업표준(KS) 개발을 통해 기업의 역동성 강화 및 자율성 향상도 지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 규제 특례(샌드박스)도 신설됩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미래 해양수산 산업의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한다”며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친환경·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해양수산 산업시장을 선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저작권자(c)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