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유(Palm Oil)는 지구상에서 가장 널리 소비되는 식용 기름입니다. 팜오일, 야자유로도 불리는 팜유. 팜나무 열매를 쪄서 압착해 만드는데요. 세계자연기금(WWF)에 의하면,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절반 이상은 어떤 형태로든 팜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팜유가 삼림벌채의 주요 원인이란 점입니다. 세계자원연구소(WRI)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지난 15년간(2001~2015년) 1,050만 헥타르(ha)의 삼림이 팜나무 재배를 위해 사라졌습니다. 이는 세계 팜유 공급의 약 85%를 생산하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두드러집니다.

지속가능성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체인지릭션리서치(CRR)에 따르면, 팜유 주요 수출국인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파푸아뉴기니에서만 최근 2년간(2019~2021년) 1만 9,000헥타르의 삼림이 신규 팜유 농장 건설을 위해 사라졌습니다. CRR는 이는 “미국 수도 워싱턴 D.C(177㎢)보다 큰 면적”이라고 지적했는데요.

열대우림이 팜유 농장으로 바뀌며 생물다양성도 크게 손실됐습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팜유 생산이 최소 193종의 멸종위기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C16바이오사이언스의 공동설립자 겸 CEO인 사라 티쿠가 팜리스 제품을 들고 있다 ©C16 Biosciences

C16 합성팜유 ‘팜리스’ 출시, 2023년 상업화 발표…뷰티 제품 우선 사용” 💄

다만, IUCN은 해바라기 씨 등 다른 식물성 기름은 팜유보다 수확량이 적단 점을 꼬집었습니다. IUCN은 식물성 기름에 대한 수요가 줄지 않는 이상 팜유를 대체할 식용유가 없단 점을 인정했는데요. 팜유 수요는 2050년까지 매년 1.7%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팜유를 대체할 물질은 없는 걸까요? 이와 관련해 최근 희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지난 3일(현지시각), 미국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C16바이오사이언스(C16 Biosciences·이하 C16)는 합성팜유 제품 ‘팜리스(Palmless)’의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팜리스는 기존 팜유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회사 측은 팜리스가 내년부터 뷰티제품 내 팜유를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2023년까지 미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것을 예상한다고 C16은 덧붙였습니다. 고객사가 누구인지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C16은 ‘팜유 산업으로 인한 삼림 파괴를 종식시킨다’는 비전 아래 2017년부터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 C16바이오사이언스 실험실에서 배양 중인 효모왼 효모 안에서 팜유와 유사한 기름이 생성되는지 확인 중인 연구원오의 모습 ©C16 Biosciences

이 회사는 효모를 이용해 합성팜유를 만듭니다. 지방산의 한 종류인 ‘팔미트산(C16)’이 활용되는데요. 회사 측은 바이오기술을 활용해 효모가 발효되면 세포 안에서 팜유와 유사한 기름이 생성되도록 만들었습니다.

C16의 효모는 부산물에서 탄소와 당을 흡수한 후 이를 지질로 바꿉니다. 효모에서 지질을 추출함으로써 합성팜유를 생산할 수 있다고 C16은 설명했는데요.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합성팜유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었습니다. 불포화지방산이 주성분인 다른 식물성 기름과 달리, 팜유는 포화지방산 함량이 45%로 높습니다. 이에 C16은 효모 발효 과정에 고탄소 산업 부산물을 공급함으로써 해결했습니다.

 

▲ C16바이오사이언스는 팜유 산업으로 인한 삼림 파괴를 종식시킨다는 비전 아래 사업을 펼치고 있다 ©C16 Biosciences

기후펀드 BEV 투자, “합성팜유 상업화 단계 첫 발 내딛게 만들어줘” 💰

합성팜유 생산의 가장 큰 난관은 높은 생산단가입니다. C16은 합성팜유 시제품을 일찍이 개발했으나 높은 생산단가로 인해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었는데요. 실제로 C16의 합성팜유 가격은 기존 팜유보다 2~3배 이상 높았습니다. 여기에 효모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대형설비를 만들어야 한단 것도 문제였는데요.

C16은 2020년 빌 게이츠의 기후펀드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BEV)로부터 2,000만 달러(당시 한화 약 241억원)를 투자받아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C16은 당시 투자를 바탕으로 연구 및 생산설비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당시 투자 덕에 C16은 5만 리터 규모의 합성팜유 생산도 가능하게 됐습니다. 덕분에 올해 C16은 합성팜유 제품 팜리스를 출시하게 된 것인데요. 이에 대해 회사 측은 합성팜유 상업화 단계의 첫발을 내디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카마이클 로버츠 BEV 투자위원장은 합성팜유 출시에 대해 “C16에 투자한 이유 중 하나는 C16이 과학을 상업적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했는데요. 로버츠 위원장은 이어 “(팜리스가) 소비자에게 덜 해로운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힘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C16바이오사이언스의 사라 티쿠 CEO가 팜유로 인한 삼림 벌채를 주제로 발표를 하는 모습 ©C16 Biosciences

티쿠 CEO, “싱가포르서 팜유 처음 알게 돼”…열대우림 개간 ‘외교 분쟁’ 촉발 🌴

C16이 합성팜유 생산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라 티쿠 C16 공동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싱가포르 출장 당시의 경험 때문이라고 회고합니다.

티쿠 CEO는 미 경제전문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싱가포르 출장 당시) 공기질 지수(AQI)가 400이었는데 일반적으로 300을 넘으면 ‘매우 건강에 해로움’으로 간주한다”며 “당시 학교가 폐쇄되고 임산부는 밖에 나갈 수 없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티쿠 CEO는 “(싱가포르의) 이웃국가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팜유 농장을 만들기 위해 열대우림을 태우며 나온 연기였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 2015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과 보르네오섬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연무의 이동 모습 당시 연무는 아세안 10개국 중 6개국으로 퍼졌다 ©NASA

열대우림에 팜유 농장을 만들기 위해선 주로 화전(火田) 방식이 사용됩니다. 즉, 숲에 불을 질러 나무를 다 태워버리는데요. 이 과정에서 매년 산불이 발생하고, 건기에 이웃나라로 연무(연기)가 확산하는 일이 잦습니다. 가령 2015년 인도네시아의 불법화전으로 인해 발생한 대형 연무로 인해 아세안 10개국 중 6개국이 영향을 받았는데요.

싱가포르는 대기오염을 야기한 인도네시아 기업에게 벌금을 부과할 수 있는 법적 조치를 취했고, 태국 또한 인도네시아 산불 확산을 추적하고 공기질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이 문제로 인한 외교 분쟁도 발생했던 전례가 있습니다.

싱가포르에서 팜유 농장이 일으키는 여러 문제를 체감한 티쿠 CEO는 귀국 후 미 하버드대에서 MBA(경영학 석사)를 받았는데요. 이후 같은대학에서 물리학 박사를 공부 중이던 해리 맥나마라 박사, 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보건과학기술 박사를 준비 중이던 데이비드 헬러 박사와 뜻을 모아 C16을 공동 설립합니다.

 

+ 열대우림 개간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도 높아! 📈
2020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된 한 연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열대우림을 팜유 농장으로 개간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됩니다. 전 세계 총 온실가스 배출량(GHG)의 0.8%를 차지하는데요. 이는 세계 항공 배출량의 거의 절반에 해당합니다. 팜유 농장으로 개간하는 과정 중 천연 탄소 저장고인 이탄지(泥炭地·peatland)도 불에 타기 때문인데요. 나무가 불에 타면서, 토양 속에 저장된 탄소가 밖으로 배출되는 상황.

 

▲ 팜나무 재배를 위해 개간된 열대우림의 모습 ©EOS Data Analytics

추적성·유연성 고루 갖춘 C16, ‘2022 바이오 농업 솔루션’ 선정돼 🏆

C16은 팜유를 비롯해 모든 종류의 식물성 기름을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C16 공동설립자인 헬러 박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종류의 미생물 기름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 중”이라며 “미래에는 여러 식물성 기름 대체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는데요.

한편, 지난 8일(현지시각) C16은 ‘바이오테크 브레이크스루 어워드(BioTech Breakthrough Awards)’에서 ‘2022년 바이오 농업 솔루션’으로 선정됐습니다.

심사위원단은 “C16의 기술은 전 세계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을뿐더러, 저렴한 생산이 가능하게 한다”고 평가했는데요. 효모를 통한 합성팜유 생산 덕에 추적성 및 신뢰성을 두루 갖춘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기업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 그리니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