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매일 입는 옷. 이 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나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17년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의류 생산 단계에서 나오는 폐섬유는 하루 약 224톤. 여기서 말하는 폐섬유는 생산 단계에서 나오는 자투리 원단이나 실을 칭하는데요. 이 폐섬유를 최근 건축 자재로 쓰는 곳이 있단 소식 들고 와 봤습니다.
#1
폐섬유로 집을 짓는 것이 가능해…? 🏘️
가능해요! 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자투리 원단(=폐섬유)이 발생하는데요. 이 원단을 수거해 분리한 다음, 압축 과정을 거치면 벽돌 같은 건축 자재로 재탄생 할 수 있다고 해요.
- 실제로 만든 집이 있냐고 묻는다면: 국내에선 ‘세진플러스’란 사회적 기업이 폐섬유로 만든 건축용 합판을 만들었는데요. 이 합판을 실제 ‘에코하우스’란 친환경 주택의 내 외장재로 사용했다고. 2층 집 한 채를 짓는데 사용된 폐섬유만 약 1만 2,000장, 중요한건 이를 100% 사용했다는 사실!
#2
우리나라가 최초? 다른 나라는 없는거야? 🌐
프랑스, 에스토니아에 비슷한 사례가 있는데요. 지속가능성과 순환경제로 전환 중인 유럽 국가들 위주로 관련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다만, 폐섬유로 100% 건축물을 만든 사례는 현재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 패브릭(FabBRICK) 🇫🇷: 프랑스 디자인 기업 패브릭은 버려지는 옷을 재활용해 벽돌과 가구 등을 만들고 있어요. 티셔츠 3개를 재활용해 벽돌 하나를 만드는데, 지금까지 약 12톤의 의류를 재활용해 벽돌 4만 개를 제작했다고. 단, 거의 인테리어 위주로 사용되고 있음.
- 리텍스 그룹(RETEX Gruop): 에스토니아에 있는 리텍스 그룹은 유럽연합(EU)의 순환경제 목표 달성이란 비전 아래, 섬유 폐기물로 만든 건축 자재를 선보였는데요. 6년 이내 유럽 내 섬유 폐기물 15% 이상을 재활용할 계획이며, 오는 2022년부터 북유럽 국가들 위주로 판매가 진행된다고.
#3
냄새나거나, 몸에 안 좋지는 않을까? 😟
그런 걱정은 NO! 철저한 제조 과정을 거쳐 악취는 사라지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오히려 건강에 이롭다고 해요. 강도와 내구성 또한 기존 소재보다 뛰어나고, 가격도 저렴하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 폐섬유를 기존 방식대로 폐기하면요: 폐플라스틱 못지않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데요. 합성 섬유 옷감을 태우거나 매립하는 과정에서 메탄,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것은 물론,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도 같이 배출되어 건강에 해롭다고.
- 폐섬유 재활용 자재의 가장 큰 장점은요: 3개 사례 모두 1회 사용 후 버리는 게 아니라, 같은 공정을 거쳐 횟수 제한 없이 재생산할 수 있어 자원 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 폐섬유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요 😐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하나, 전 세계의 90%가 소각·매립 하거나 둘, 업사이클링을 통해 가방이나 건축자재를 만들고 있지만 제품 제작에만 그치는 정도라고. 폐섬유로 만든 건축 자재의 활용이 더욱 활성화 되길 바랍니다!
그리니엄
그리니엄은 '그린(Green)'과 '프리미엄(Premium)'의 합성입니다. 어원처럼 우리는 '녹색의 가치와 품격'을 늘릴 수 있는 콘텐츠를 지향하며, 우리 사회를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Stay connected